부산시, 청렴도 2위 ‘역대 최고’
권익위, 17개 시‧도 중 최우수 1등급 평가…2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 내용
-
부산시가 올해 청렴도 평가에서 전국 2위로 역대 최고 순위에 올랐다. 사진은 지난 2월27일 부산시 김경덕 감사관dl 국민권익위로부터 ‘국민신문고 대상’을 수상하는 모습. 김 감사관과 최남연 조사담당관실 주무관이 수상 직후 가진 기념촬영. 김 감사관(오른쪽에서 2번째) 등 각 기관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부산시와 구·군, 공공기관, 시민단체는 청렴도 하위권을 맴도는 불명예를 꼭 벗어던지겠다는 각오로 다양한 청렴시책을 추진해 왔다(사진은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9월 부산진구 서면 롯데백화점 앞에서 펼친 ‘청렴부산 만들기’ 캠페인 모습).
부산광역시가 올해 청렴도 전국 2위에 올랐다. 지난해 5위에서 3계단 뛰어 올라 역대 최고 순위에 오른 것이다.
부산시는 지난 3일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4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결과 종합청렴도 7.64점으로, 경기도(7.66점)에 이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행정기관의 부패정도를 따지는 이번 청렴도 조사에서 최우수 1등급 평가를 받은 것.
부산시의 올해 청렴도 순위 전국 2위는 지난 2002년 권익위가 전국 시·도 청렴도 평가를 실시한 이래 최고 성적.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우수기관에 선정됨으로써 청렴도 상위권 기관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10·2011년 2년 연속 전국 최하위에서 매년 큰 폭으로 순위가 상승해 청렴도 향상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부산시는 그동안 ‘청렴’을 시정의 핵심가치로 설정, 전 분야에 걸쳐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펼쳐 왔다. 올해도 △부패통제 인프라 개선 △부패 유발요인 제거 및 근원적 제도 개선 △청렴의식·문화 개선 및 확산 △청렴활동 평가 등 청렴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했다.
구체적으로는 공무원의 직무관련자 사적 접촉을 일절 금지시키는 등 행동강령을 대폭 강화했고, 청렴한 공무원이 승진 등 우대를 받는 인사혁신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동료 공무원이 금품을 요구하거나 수수한 사실을 안 경우 의무적으로 고발토록 하는 등 직무관련 범죄행위 고발규정도 강화했다.
시민들이 느끼는 부조리를 신고할 수 있는 ‘고객불만 제로 시스템’을 도입해 부패 발생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16개 구·군에도 이 시스템을 도입토록 확산시키고 있다. 금융·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청렴 모니터링 시스템 ‘청백e’도 구축·운영하는 등 자율적 내부통제시스템을 크게 강화했다.
부산의 88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청렴사회실천 부산네트워크와 협력해 청렴문화를 확산시키고, 업무추진비 사용내역 공개, 계약정보 공개시스템 개선 등 자발적 정보공개도 확대했다. SNS를 활용한 다양한 시민소통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부패 익명 제보를 위한 청렴소리함 운영 △기동감찰반 가동△청렴강사 초빙 청렴교육 △부서장 성과와 연계한 청렴마일리지제 도입△기관 간 청렴컨설팅 등 청렴파트너십 강화 △구·군 대상 반부패 경쟁력 평가 △청렴실천 우수직원 선발 △청렴 동영상·CF 제작 등 청렴도시 부산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올해 부산시가 청렴도 평가 1등급을 달성한 데는 기본과 원칙이 통하는 청렴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부산시민과 공직자의 노력 결과”라고 평가했다.
김경덕 부산시 감사관은 “권익위가 가장 바람직한 청렴수준 향상 모델로 소개할 정도로 부산시가 전국 청렴 모범도시로 떠오르고 있다”며 “시민들의 애정 어린 질책과 따뜻한 격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덕분이며, 앞으로도 청렴문화를 선도하는 청렴 1등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부산시가 지난해부터 각종 문서에 사용하고 있는 ‘청렴 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