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625호 전체기사보기

낙동강 생태공원 ‘하이브리드 가로등’ 늘린다

태양광・풍력으로 전력 자체 생산…화명생태공원 24개 설치
을숙도·삼락·대저생태공원 설치 검토

내용

부산 낙동강 생태공원에 태양광이나 풍력으로 자체 전력을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가로등’이 불을 밝힌다. 이 가로등은 북구 화명생태공원에서 지난 1년간 시범운영한 결과 외부 전기 공급 없이 공원을 환하게 비추는 등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낙동강 생태공원에 태양광이나 풍력으로 자체 전력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가로등’이 불을 밝힌다(사진은 화명생태공원에 운영 중인 ‘하이브리드 가로등’).

부산광역시 낙동강관리본부는 지난 2012년 12월 화명생태공원 안 화명운동장 부근 3㎞ 구간에 3억1천만원을 들여 ‘하이브리드 가로등’ 16개를 설치했다.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해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는 이 가로등은 1년여 동안 하루 6시간씩 공원을 환하게 밝히고, 336개에 달하는 바닥조명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까지 거뜬히 해냈다. ‘하이브리드 가로등’은 태양광뿐만 아니라 풍력까지 이용하기 때문에 날씨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력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장점. 고효율 LED 조명까지 장착해 에너지 소비량도 최소한으로 줄였다.

이에 따라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는 올 들어 지난 2월 화명생태공원에 1억4천만원을 들여 ‘하이브리드 가로등’ 8개를 추가로 설치했다. 화명대교 남측 자전거길과 화명운동장~금곡 쉼터 희망숲길 2㎞ 구간에 설치한 이 가로등은 기존 ‘하이브리드 가로등’보다 발전용량이 더 뛰어나다. 가로등 불을 밝히고 남은 여유 전력을 자전거길에 새로 설치한 바닥조명 46개와 공원등 7개에 공급하고 있다. 화장실 1곳도 이 가로등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불을 밝히고 있다.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는 ‘하이브리드 가로등’을 앞으로 을숙도·삼락·대저생태공원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근희 낙동강관리본부장은 “낙동강 생태공원 안 조명이 부족한 곳에 하이브리드 가로등을 지속적으로 늘려 시민들이 더욱 편안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가로등은 낙동강 생태공원의 친환경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홍보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4-04-16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625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