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업·문화·쇼핑·관광·컨벤션 ‘융합’… 첨단산업단지 성공모델·한국의 맨해튼
센텀시티 20년 평가 토론회
- 내용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은 센텀시티를 '한국의 맨해튼'이라고 부른다. 정부 관계자들은 "도시첨단산단을 배우려면 센텀시티로 가라"고 추천할 정도다.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컨테이너야적장이었던 해운대 센텀시티가 한국의 맨해튼, IT와 영화·영상, 레저, 컨벤션 기능을 골고루 갖춘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성공모델로 주가를 높여가고 있다(사진은 해운대 센텀시티 전경).본격 개발 10년, 첨단산단 우뚝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컨테이너야적장이었던 해운대 센텀시티가 한국의 맨해튼,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성공모델로 날로 주가를 높여가고 있다. 덴마크와 스웨덴 남부지역에 걸쳐 있는 메디콘밸리, 프랑스의 바이오시텍, 스페인의 비스카이아 등 세계적으로 이름난 도시첨단산단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공신화를 써내려가고 있다. 경남 창원시가 2조원을 들여 개발할 계획인 마산해양신도시인 '비즈니스 코어시티'와 대구시의 '동대구복합환승센터'의 모델 역시 센텀시티일 정도로 국내 지자체의 벤치마킹도 잇따르고 있다.
부산광역시가 1994년 센텀시티(정보화산업단지) 구상을 시작한 지 20년, 허남식 부산시장 취임 이후 본격 개발에 들어간 지 10년 만에 센텀시티는 지금, 한국을 대표하는 도시첨단산단으로 우뚝 섰다. 부산시는 지난 5일 해운대 센텀사이언스파크에서 센텀시티 조성 20년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부산 명성·브랜드 향상 큰 기여
이날 토론회에서 허재완 중앙대 교수는 "센텀시티는 IT와 영화·영상, 레저, 컨벤션, 국제업무, 주거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춘 융·복합 클러스터로 향후 한국을 대표하는 창조경제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장철순 국토연구원 박사는 "센텀시티는 부산의 경제 역량, 인적 자본, 국제적 인지도 모두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센텀시티의 총 면적은 118만㎡. 부산시는 기반시설 조성에 8천억원, 상부시설 건축에 5조3천200억원(부지비용 제외)을 투입했다. 센텀시티 내 계획한 건물은 총 78개. 이 가운데 68개를 준공, 사실상 조성 완료단계다. 센텀시티 내 입주한 산업시설 업체는 총 1천412개. 지원시설로는 공공시설 11개, 의료기관 59개, 금융기관 26개 등 총 375개가 입주해 있다. 이밖에도 수영강변을 따라 조성한 APEC나루공원은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4-03-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2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