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79호 전체기사보기

진드기 물리면 사망? 치사율 일본뇌염보다 낮아

최근 연구결과 치사율 6% …진드기 0.5%만 바이러스 옮겨

내용
오명돈 서울대병원 책임교수.

“야생 진드기에 물린다고 무조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풀에 많이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를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야외활동이 많은 초여름 시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 보건당국과 전문가들은 "바이러스를 옮기는 진드기 비율은 전체의 0.5%에 불과하며, 진드기에 물린다 하더라도 전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며 과도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오명돈 서울대병원 책임교수는 지난 21일 복지부 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최근 중국의 연구결과 SFTS 발병자 2천47명 가운데 129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SFTS의 치사율은 6% 정도"라고 밝혔다. SFTS환자 발생 초기 알려진 치사율 30%는 과장됐다는 것.

SFTS 치사율 6%는 일본뇌염 바이러스 치사율 20~30% 보다 낮은 것이며, 드물게 나타나는 유행설출혈열의 치사율 5%와 비슷한 수준이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장도 "인적이 드문 수풀에 들어가지 말고, 야외에서 일을 할 때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긴 옷을 입은 뒤 털어내는 등 예방수칙만 잘 지키면 감염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야생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긴팔, 긴바지, 양말 등 피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긴 옷 착용
○등산, 트래킹 등 야외활동시 해충기피제를 준비해 뿌릴 것
○작업 및 야외활동 후에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해 진드기를 제거할 것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작업복, 속옷, 양말 등을 세탁할 것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고 눕거나 잠을 자지 말 것
○풀밭 위에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해 햇볕에 말릴 것
○논밭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작업시 기피제를 뿌린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3-05-2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79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