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76호 전체기사보기

‘동의대 사건’ 순직경관 7명, 흉상 부조 건립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서 제막…24년만에 명예회복

내용

'5·3 동의대사건' 순국 경찰관 7명을 추모하는 행사가 3일 오전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에서 있었다. 희생 경찰관의 흉상 부조도 건립, 이날 제막식을 가졌다.

'5·3 동의대사건' 순국 경찰관 7명의 추도식과 흉상 부조 제막식이 3일 오전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에서 열렸다(사진은 추도식 참석자들이 고인을 기리며 경례를 하는 모습.

경찰청은 '동의대사건' 24주년을 맞아 3일 오전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에서 희생된 경찰관 추도식과 흉상 부조 제막식을 열었다. 올해 행사는 지난해 8월 '동의대사건 희생자 명예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고인의 명예가 회복된 후 처음 연 추도식이다. 동백광장 추모공간에 들어선 흉상 부조는 고 최동문 경위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고 박병환·정영환·조덕래 경사가, 왼쪽에 고 서원석·모성태·김명화 수경의 모습이 자리 잡고 있다.

사진기자들이 흉상 부조를 촬영하는 모습.

순국 경찰관 추도식과 흉상 부조 제막식에는 순직 경찰관 유족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이성한 경찰청장, 허남식 부산시장, 서병수 국회의원, 이인기 전 국회의원, 전몰군경 유족회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유 안행부 장관은 "사회적 격변기에 발생한 희생 경찰관에 대한 명예 회복과 보상이 뒤늦게나마 이뤄져 다행"이라며 "국가 질서와 국민 안녕을 위해 헌신하신 분께 앞으로도 정부는 반드시 명예를 지켜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족 대표인 고 정영환 경사의 형 유환(54)씨는 "절반의 명예 회복에 불과하지만 이런 자리가 마련되기까지 무려 24년이 걸렸다"면서 "불행한 경찰관과 우리와 같은 유가족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이날 희생 경찰관 명예회복·보상 법률 입법에 힘을 보탠 이인기 전 국회의원 등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5.3 동의대사건' 1989년 5월 3일 경찰이 동의대 중앙도서관에 잡혀 있던 경찰관 5명을 구출하기 위해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2년 4월 동의대 사태 시위자 46명은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지만, 경찰관의 희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경찰관 유족은 동의대 사태를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한 데 대해 재심할 수 있도록 헌법소원을 내며 강하게 반발했지만 헌법재판소는 2005년 10월 각하결정을 내렸다.

2009년에야 발의된 '동의대 사건 등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2월 국회를 통과하면서 희생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보상의 길이 열렸다.

올해 2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보상금심의위원회는 순직 경찰관 1인당 최고 1억2천700만원을 보상할 것을 최종 의결했다.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3-05-03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76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