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10명 중 7명, “언제 잘릴지 몰라”
- 내용
정규직 10명 중 7명이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정규직 416명을 대상으로 '2012년 직장인 고용불안감 현황'을 조사한 결과, 75.7%(315명)가 '현재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자는 24.3%(101명)에 불과했다.
5년 전과 비교해 직장인들의 고용불안감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7년 정규직 직장인 1천1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는 51.3%가 고용 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5년 만에 24.4%p가 는 것. 구조조정과 조기퇴직이 사회적 분위기로 정착하면서 직장인들 사이에 고용불안의 그림자가 점점 더 짙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직장인들의 고용불안감은 성별과 연령, 업종, 기업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 직장인(76.1%)들이 남성 직장인들(75.3%)에 비해 고용불안감이 다소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 직장인 81.8%가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어 30대 직장인(74.4%)과 20대 직장인(74.8%)도 70% 이상으로 나타나 젊은 직장인들도 고용 불안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무 기업별로는 외국계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고용 불안감이 85.2%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 중소기업(75.9%), 대기업(75.0%) 순. 공기업도 69.6%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공기업 선진화 작업으로 정원을 줄이는 공기업들이 늘면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업종별로는 유통·도소매 분야(89.7%)와 건설업 분야(89.3%)에서 일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고용불안감이 가장 높았으며, 기계·철강·중공업(85.0%), 제조업(82.2%) 분야도 고용 불안감이 높았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고용불안감이 높아지면 직장인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고, 업무효율도 떨어뜨릴 수 있어 결국 기업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기업은 직원들이 심적으로 편하게 일 할 수 있는 기업문화를 만드는 등 조직원들의 고용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작성자
- <자료제공=잡코리아>
- 작성일자
- 2012-12-1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56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