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문화·예술 리더들, 지속가능한 예술 활동위한 불만백서 발표
12월 1일 부산지역 30여 개 청년 문화·예술 단체 대표 80여명
지속가능한 창작 활동위해 예술공연지원센터 집결해 난장토론
- 내용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년문화예술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연대의 방안을 모색한다. 오는 12월1일 오후3시 부산대학 앞 금정구 예술공연지원센터(GAS)에서 열리는 ‘지속가능한 예술활동을 위한 불만백서’가 그 자리다.
부산의 청년문화예술인들이 모여 펼치는 난장토론과 소통의 잔치 한마당이 될 행사에는 인디밴드, 퍼포먼스 팀, 잡지, 화가그룹을 포함한 청년문화·예술 단체 리더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장르를 불문하고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년문화예술인들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은 부산대 일대 청년문화 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GAS가 출범 1주년을 맞아 청년 문화·예술 단체들의 지속적인 활동을 논의하기 위해 판을 열고, 이들을 불러내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만들자고 제안해 성사됐다.
그동안 부산대 일대의 문화단체들은 ‘장전커넥션(재미난 복수, 아마존, 생활기획공간 통, 화가공동체 민들레, 작은 고추디자인 스튜디오, 카페 헤세이티 등 참여)’이란 이름으로 지난 1월부터 모임을 꾸려왔다. 장전커넥션은 지역축제, 청소년 교육 등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위한 협력 방안 및 각 단체들의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정보와 인프라를 공유해왔다. GAS는 보다 폭을 넓혀 부산 전역의 청년 문화 예술 단체들의 리더들이 모여 그동안의 활동을 돌아보고, 지속가능한 창작 및 예술 활동을 위해 어려움을 공유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이날 난장토론에는 장전커넥션 외에 문화소통단체 숨, 꽃마을, 힙합 아우라지, 그랜드픽스, 꿀뮤직(힙합), DJ 건봉, 용두산공원밴드, 달콤씁쓸한밴드, 령교밴드, 시각장애인밴드 터닝포인트, 대안공간 비움, 노리단, 춤패 배김새, 현대무용단 자유, 잡지 미열, 개념미디어 바싹, 미디토리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팀과 단체들이 참여한다. 이들뿐 아니라 단체들과 꾸준히 교류해 온 그래피티 구헌주 작가, 독립영화 감독 김지곤, 공통의 관심사로 함께 공부를 하는 부산동화스터디모임, 화실을 함께 사용하다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느낀 작가 등 80여 명의 다양한 청년들이 자리를 함께 할 예정.
A4 전시·불만백서·토론·파티
기발함·진지함 공존하는 교류의장행사는 오후3시부터 참석 단체 소개 및 전시·공연에 이어, 오후 4시 다양한 장르의 리더들이 팀을 이뤄 ‘지속가능한 예술활동을 위한 불만백서’를 토론한다. 불만백서는 타 장르나 단체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통의 어려움을 발견하기 위한 것.
부산지역 청년문화 생산자들이 지속가능한 청년문화 발전과 확산을 위한 논의의 자리를 만들자는 제안은 예전부터 있어왔다. 지난 2011년, 2012년 있었던 공공예술프로젝트 ‘부산 회춘프로젝트’와 ‘청년문화수도’ 프로젝트를 통한 청년 문화 예술 단체들의 교류와 협력의 확장이 동력이 됐고, 교류의 경험이 ‘창작과 활동의 지속’이라는 더 진지하고 건강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자리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행사를 기획하고 주최하는 금정구공연예술지원센터 박진명 센터장은 “페스티벌 등 직접 행사를 만드는 과정에서가 아니라 활동의 지속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에 장르를 넘어 80명의 청년들이 모이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진단했다. 박 센터장은 “청년 문화·예술 단체 리더들의 교류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것은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주목받지 못했던 청년 예술가들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라며 “문화적 다양성과 창조적인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청년 예술가들의노력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 금정구예술공연지원센터(518-0053)
- 작성자
- 김영주
- 작성일자
- 2012-11-30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