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뱅크 너무 좋은데, 물품이 조금…”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 내용
“푸드뱅크·마켓 너무 좋은데, 물품이 좀 더 많았으면….”
부산시내 푸드뱅크 17곳과 푸드마켓 11곳 이용자들은 서비스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물품 부족이 아쉬운 점으로 지적됐다.
부산광역시는 지난달 15~26일 푸드뱅크·마켓 이용자 693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식품의 신선도와 양, 종류, 횟수, 유통기한, 전달자의 태도 등에 대해 응답자의 7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용에 불편한 점으로는 56.5%가 '물품 부족'을 1순위로 꼽았다.
부산시내 푸드뱅크·마켓 이용자들은 서비스에 대체로 만족하지만 물품 부족이 아쉽다고 지적했다(사진은 부산시내에 운영 중인 푸드마켓).푸드뱅크·마켓 이용 횟수는 월 평균 1회가 응답자의 66.5%로 가장 많았고, 이용 방법은 직접 방문이 62.1%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61.6%가 기부 식품을 이용함으로써 좋아진 점으로 ‘식비 절감’을 꼽았으며, 월평균 식비 절감액은 3만원 이하가 66.9%로 가장 많았다. 이용하고 싶은 식품이나 용품은 직접 조리할 수 있는 음식재료 23.3%, 조리돼 있는 부식류 19.6%, 생활용품 16.5%순으로 나타났다.
푸드뱅크·마켓의 기부 식품이 저소득 세대 등에 무상으로 지원되는데 대해서는 76.6%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푸드뱅크·마켓의 바람직한 운영형태로는 63.9%가 “정부와 지자체 지원”이라고 말했다.
식품 기부에 참여하는 기업 이미지는“참여하지 않는 기업보다 더 윤리적일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92.6%나 됐다.
부산지역 푸드뱅크·마켓은 1998년 시범사업으로 시행한 후 현재 광역푸드뱅크 1곳, 기초 푸드뱅크 16곳, 푸드마켓 11곳을 운영하고 있다. 푸드뱅크·마켓은 기업이나 개인 등으로부터 포장을 뜯지 않은 식품과 생활용품을 기부 받아 가까운 사회복지시설 생활자나 저소득 주민들이 이용하도록 하는 나눔 제도다.
식품과 생활용품 기부를 희망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전국 푸드뱅크 대표번호(1688-1377)나 부산푸드뱅크(248-1377)로 연락하면 된다. 기부자는 법인세와 소득세 감면 등 세제해택을 받을 수 있다.
신규철 부산시 사회복지과장은 "어려운 이웃에 따뜻한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기업을 비롯한 단체·개인 등의 식품과 생활용품 등의 기부를 기다린다"며 "시와 구·군도 식품 기부가 보다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사회복지과(888-2767)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2-11-2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5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