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402호 전체기사보기

소음해결·24시간 운용, 가덕도가 최적

선진화개혁추진회의 토론회…복합운송체계 세계적 추세

내용

한국선진화개혁추진회의(상임의장 이영해 한양대 교수·고문 강영훈 전 국무총리)가 지난 11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연 ‘동북아 제2허브공항, 왜 부산이어야 하나’ 토론회에서도, 신공항은 김해공항의 한계 상황을 극복하면서 항만과 공항이 연계된 복합운송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곳에 입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한 동의대 김흥관(도시계획과) 교수는 “세계 경제는 통신기술의 고도화와 물류체계의 발달에 따라 고부가가치 상품의 복합운송체계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세계 5위의 항만도시인 부산이 해상운송과 항공물류가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도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김해공항의 시설 미비와 24시간 운용의 제약성 등으로 부산이 세계 5위의 항만도시이면서도 해상과 항공화물의 연계성이 떨어져 동남권의 항공 화물마저 김해공항을 외면하고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부산발전연구원 최치국 선임연구위원은 “인천공항은 인천항과 연계된 수도권의 거점공항으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만큼 부산항은 물론 광양항까지 아우르는 남부권의 거점공항이 부산 가덕도에 위치하는 것이 국가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최 위원은 “소음 피해로 24시간 운용이 안되고 확장 가능성이 적은 김해공항의 근본적 한계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24시간 운용 가능하며 확장이 용이한 신공항 후보지는 가덕도 뿐”이라고 강조했다. 최 위원은 “신공항 입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성은 행정구역적 도달거리가 아니라 공항을 주로 이용하고 미래 공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할 대도시에서의 접근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성자
박재관
작성일자
2009-12-16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402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