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3개월이면 우수·불량 인재 구분
우수-업무성과 좋은 능력파 직원, 불량-불평·불만 많은 직원
- 내용
-
제목 없음
꼼꼼한 서류심사와 면접을 걸쳐 인재를 채용했지만, 입사한 직원 중 몇 몇은 말썽꾼 인재임이 판명되기도 한다.실제, 중기 인사담당자 10명중 9명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채용한 직원이 우수한 인재인지 불량한 인재인지 파악할 수 있다고 답했다.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 jobkorea.co.kr)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인사담당자 2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인사담당자 95.3%(241명)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우수 또는 불량 인재를 구분할 수 있다'고 답했고, 구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개월'(40.7%)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한달(25.7%) △반년(6개월 11.6%) 순으로 답한 응답자가 많았고 △일주일(10.4%)과 △보름(9.1%) 등 제법 짧은 기간 내에 입사자의 우수 또는 불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10.4%와 9.1%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중기 인사담당자들은 어떠한 유형의 직원을 우수 또는 불량한 인재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우수인재 유형에 관해 설문한 결과, 중기 인사담당자들은 `업무성과가 좋은 능력파(54.5%)' 유형의 직원을 우수한 인재 유형 1위로 꼽았다. 다음으로 △늘 한결같은 성실파(24.1%) △안되면 될 때까지 하는 노력파(13.0%) △일단 덤비고 보는 의욕파(4.3%) △인간관계가 좋은 의리파(3.2%) 유형 순으로 답했다.
반면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불량 인재 유형으로는 △입만 열면 불평 불만하는 직원(50.2%) △툭하면 지각, 결근하는 직원(19.8%) △근무시간에 인터넷 쇼핑 등 딴 짓하는 직원(12.6%) △학연, 지연 파벌 형성하는 직원(7.1%) △틈만 나면 뒷 담화 하는 직원(5.5%)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 중기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불량인재 유형으로는 `직장 상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직원', `이력서에 쓴 것과 달리 실제 능력이 현저히 낮은 직원', `팀원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직원' 등이 있었다.
<자료제공=잡코리아>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9-06-2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377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