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국체전 성공개최…52년 만에 종합 2위 ‘쾌거’
복싱·핸드볼·탁구 등 6개 종목 ‘종합 1위’
세계·아시아·한국 신기록 등 기록 ‘풍성’
자원봉사자·서포터즈…시민참여 돋보여
‘생활체육 천국도시’ 조성 노력 ‘결실’
- 내용
- 부산이 국내 최대 스포츠 이벤트인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에서 ‘종합 2위’에 올랐다. 1973년 제54회 전국체전 이후 52년 만에 일궈낸 쾌거다. - ‘생활체육 천국도시’를 목표로 체육인 지원과 관련 인프라 확충에 힘을 쏟은 노력이 결실을 거뒀다. 높아진 스포츠도시 부산 위상은 향후 메가 스포츠 유치의 든든한 기반이 될 전망이다.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에서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지난 10월 17일 개막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가 10월 23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폐회식을 끝으로 7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부산은 이번 전국체전에서 ‘종합 2위’에 올랐다. 1973년 제54회 전국체전 이후 52년 만에 일궈낸 쾌거다(사진은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육상 경기를 펼치는 모습). 사진제공·부산일보/연합-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결산 -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에서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지난 10월 17일 개막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가 10월 23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폐회식을 끝으로 7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부산 전국체전에는 50개 종목(정식 48·시범 2)에 모두 3만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 2023년 7위, 2024년 6위를 기록한 부산은 이번 전국체전에서 종합 3위를 목표로 했다. 세팍타크로, 에어로빅힙합 등 전통적인 강세 종목의 꾸준한 활약과 탁구, 복싱 같은 종목에서 기대 이상의 선전으로 총득점 5만6천870점을 획득해, 1위 경기도(총득점 6만6천595점)에 이어 2위에 올랐다.  
 △10월 17일 전국체전 개막식 부산 선수단 입장 모습 
 △10월 23일 폐회식에서 기수단 입장 모습 (사진제공·국제신문)- 부산이 전국체전에서 종합 2위에 오른 것은 1973년 54회 대회 이후 처음이다. 부산은 1972년과 1973년 2년 연속 종합 2위를 차지했지만, 이후 단 한 번도 종합 2위에 오른 적이 없다. 2000년 부산에서 열린 81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한 이후 3위조차 달성하지 못했다.  
 - 부산의 종합 2위 쾌거 못지않게 대회 성공개최에 힘을 더한 부산시민의 활약도 크게 빛났다. 4천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은 ▷개폐회식 등 입·퇴장 관리 ▷경기장 안내 ▷교통 주차 관리 등을 통해 원활한 대회 운영을 도왔다. 1만6천여 명의 시민·학생들로 이뤄진 대회 서포터즈는 경기 관람과 열띤 응원전으로 대회 성공개최의 보이지 않는 주역 역할을 톡톡히 했다.  
 △부산시민의 열띤 응원 모습.- 이번 전국체전은 지역경제 활력에도 큰 힘이 됐다. 3만명이 넘는 선수단을 비롯해 선수 가족 등이 대거 부산을 찾으면서 지역 상권이 모처럼 활기를 찾았다. 육상과 수영 등 다양한 경기가 열린 사직종합운동장 인근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A 씨는 “프로야구 시즌이 끝나 한산한 편이었는데 전국체전이 열려 손님이 많이 늘었다”라고 말했다. 숙박업소들도 체전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부산관광협회에 따르면 체전 기간 지역 호텔 객실 대부분이 만실을 나타냈다.  
 △검도 여자 일반부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부산 대표팀- 올해 전국체전은 신기록도 풍성했다. 대한체육회 발표에 따르면 신명준(서울시청)은 호흡잠영 100m에서 30초87로 세계신기록을 수립했다. 수영 자유형 200m 황선우 선수의 아시아 신기록을 포함해 수영, 핀수영, 사격 등에서 한국 신기록 12개가 새롭게 작성됐다. 한국 타이기록 1개, 한국 주니어 신기록 2개, 한국 주니어 타이기록 2개를 비롯해 대회신기록은 무려 82개가 쏟아졌다. 
- 작성자
- 부산이라 좋다
- 작성일자
- 2025-10-30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