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역사 더듬는 <1023 피란수도 세계유산 탐방길>
- 내용
-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한국 침략으로 전쟁이 발발해 1953년 7월 27일 휴전할 때까지 3년 이상 치러진 6.25 한국전쟁은 국제전으로 비화해 엄청난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낳았습니다. -   
 6.25 한국전쟁에 참전한 세계 여러 나라를 새긴 표지물.- 전쟁 당시에 피란수도 역할을 했던 부산의 여러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는 역사·문화 탐방길인 '1023 피란수도 세계유산 탐방길'이 부산 서구 부민동 일원에 조성돼 있어서 방문객의 눈길을 끕니다.  
 태극기와 한국전쟁 당시의 가로등.- 1023 피란수도 세계유산 탐방길은 한국전쟁 당시 1023일간 피란수도 부산의 중심지로 자리했던 서구 부민동 일대를 새롭게 조명하자는 뜻으로 서구에서 예산을 들여서 만든 것입니다.  
 임시수도기념관을 형상화한 버스정류소.- 이는 서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의 개별유산 9곳 중 임시수도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 부산 임시수도 정부 청사인 ‘임시중앙청’이 자리잡고 있는 역사 유물을 이용해 조성한 것입니다. -  -   
 전쟁 당시 품팔이 나선 부모를 대신해 동생을 돌보는 누나 조형물.- 한국전쟁 당시 행정·교육·문화 등 다양한 거점 시설이 자리해 있었던 관계로 부산 서구 부민동 일대는 피란수도 부산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해냈습니다. -  -   
 1023 피란수도 부산 역사 새긴 벽화 조형물.- 서구청은 1023 피란수도 세계유산 탐방길에 1950년대의 가로등 설치를 비롯해 임시수도기념관 건물을 형상화한 버스 정류소를 조성해 서구를 찾는 관광객이 한눈에 이곳이 피란수도 중심지임을 휜히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  -   
 전쟁 당시에 피란 가는 벽화.- 그리고 임시수도기념관을 오르내리는 계단에는 전쟁 참전국의 역사 기록을 하나하나 새긴 계단길을 조성해 피란수도 1023일간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담아놓았습니다. -  -   
 전쟁을 피해서 고향을 떠나는 가족 조형물.- 부산 서구 부민동 일대의 1023 피란수도 세계유산 탐방길을 걸으며 전쟁의 참화와 역사가 주는 뼈저린 교훈을 되새기는 계기로 삼아 보면 좋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듯이 과거 역사는 현대인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  -   
 전쟁 참여 국가의 국기.- 우리나라가 두번 다시 이런 전쟁의 비극이나 참혹함을 겪지 않으려면 국방과 안보를 철저히 다지고 동맹을 지킬 것이며 국민 모두가 단결의지와 안보의식을 지녀야 합니다. 자유나 평화는 절대로 거저 주어지지 않습니다. -  -   
 1023 피란수도를 표시한 하수구 덮개.- 후손대대로 평화와 번영을 누리려면 선조들의 호국보훈 정신을 본받아 언제나 외세 침략에 대비해야 하고 유비무환의 정신을 갖추고 살아야 할 것입니다. 
- 작성자
- 박정도
- 작성일자
- 2023-03-0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