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해녀를 속속들이 알 수 있는 <영도해녀문화전시관>

내용

부산은 해양도시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지요

바다를 생계터전으로 삼는 이들 중에는 해녀도 있습니다

이런 해녀의 문화랄까 일상을 널리 알리려고 2019년에 영도해녀촌 일대에 영도해녀문화전시관을 세웠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5312

▲ ​부산 영도구 중리해변에 자리한 영도해녀문화전시관 전경.

영도해녀문화전시관은 중리해변의 불편하고 낙후된 해녀 수산물 판매 시설을 정비하고 영도해녀의 문화적 자산 가치 보존을 위해 조성하게 된 것이죠

실제로 전시관이 세워진 곳은 영도해녀촌이라고 불리는 곳으로서 원래는 해녀들이 그날 바다에서 채취한 수산물을 판매하던 곳이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5858

▲ ​바다를 배경으로 한 해녀 모습 사진.

전시관은 건물 2층에 있습니다

1층은 밖에 있던 해녀들의 판매대를 옮겨온 수산물판매장이죠

수산물을 직접 구매할 수도 있고 그 자리에서 바로 손질해 먹을 수도 있습니다

건물 2층으로 가면 전시실인데 전시는 벗이 있고 바다가 있어 물질한다는 주제로 구성해 두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6053

​▲ 해녀 복장과 여러 작업 도구.


전시는 해녀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합니다

해녀라는 이름은 위백규의 존재전서(1791)’ 중 금당도선유기에서, 해녀의 다른 이름인 잠녀는 이건의 제주풍토기(1629)’와 이형상의 탐라순력도(1702)’에서 처음으로 기록됐다고 합니다. 출전이 나온 연도를 보면 해녀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됐는지 알 수 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6340

​▲ 해녀 복장 변천사.

다음으로 제주 해녀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과 그 의의, 제주 해녀들이 출항해녀가 되어 국내를 포함한 중국, 러시아까지 진출한 시대적 배경과 이동경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6089

​▲ 해녀의 휴식과 수다공간 '불턱'

이후에는 해녀들의 생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해 두었습니다

실제로 해녀가 입는 옷과 쓰는 도구들을 가져와 전시해 놓았습니다

해녀들이 호흡할 때 내는 휘파람 소리인 숨비소리를 들을 수 있는 오디오와 해녀들의 조업 방식을 체험해볼 수 있는 간단한 VR게임도 마련해 두었습니다

마지막에는 해녀들이 조업하는 모습과 과거 해녀촌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 영도 해녀들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통해 해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10815_182925868

​▲ 해녀가 채집한 각종 수산물.

영도해녀문화전시관은 영도구 중리남로2-36 중리해변에 자리해 있습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화-토 오전 9~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매주 월요일과 법정공휴일은 휴관이고요

도시철도 1호선 남포역에서 내려 영도대교 정류소로 가서 시내버스 508번이나 71번을 타고 30여 분이면 갈 수 있습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1-08-16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