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 있는 사찰 우암사 둘레길
- 내용
- 황령산, 금련산은 부산광역시 다섯 지자체를 품고 있는 부산 도심 속 산이다. -  - ▲ 망미동 우암사 대웅전 전경 - 이 산 8부 능선 망미동 방향에 있는 우암사는 타 사찰과 좀 다른 곳이다. - 이 사찰 뒤에 있는 동굴은 사계절 석빙고 역할을 하는 동굴이 있다. 동굴 입구에는 천장에서 물이 뚝뚝 떨어진다. - 동굴은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자연 형성되었기에 사람이 진입하려면 입구에 전기 박스에 스위치를 들어 올리고 들어가고, 나올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내려야 한다. 
 - ▲ 연제구 마을버스 6번 표지판. 보리암에 하차 후 우암사로 가면 된다. - 우암사를 가기 위해서는 들머리를 잘 잡아야 한다. - 도시철도 3호선 배산역 3번 출구로 올라가면, 부산여상으로 가는 오르막길로 가다가 금련산으로 가는 길 끝에 학교가 있다. - 학교를 지나 또 가파른 오르막길을 따라 올라가면, 금련산 아래 동네인 망미동 첫 마을을 만난다. - 그래서 정확하게 사찰을 찾을 수 없다. 우암사라는 사찰 표지판보다, 이 길에는 암자들이 많이있다. 그래서 암자로 가는 표지판이 눈에 먼저 들어온다. - ▲ 우암사 마당에 세워진 3층 석탑. - 맨 마지막에 허름한 집 몇 채가 있다. 그집을 지나 올라가면, 평지에 우암사라는 사찰을 만날 수 있고, ‘대웅전’이 나타난다. - 마당 앞에는 석탑 하나가 자리잡고 있다. 작업하는 인부들이 열심히 무엇인가, 용접을 한다. - ▲ 우암사 동굴 입구. 
 - ▲ 우암사 동굴 내부. - 사찰 뒤로는 절벽 왼쪽으로 오르는 돌계단으로 만들어져 있다. 오른쪽에 작은 동굴 입구가 나타난다. - 혼자서 들어가기가 좀 무서웠다. 그러나 이곳까지 올라오는데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했는데 하면서 입구에 서서 동굴 안을 들여다보니, 천장에서 시원한 찬물이 바닥으로 떨어진다. - 동굴 속은 어우컴컴하여 보이지가 않는다. 오른쪽 벽에 전기를 연결하는 스위치 박스가 있다. - 들어갈 때는 스위치를 켜고 들어가고, 나오실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내려달라는 당부의 글을 써 붙여 놓았다. - 스위치를 올리고 50여 m를 들어가니 혼자서는 무서워서 더는 들어가지 못했다. 스위치를 켰지만 전구가 드문드문 있어서 역시 동굴 안은 어둡기는 마찬가지였다. 
 - ▲ 우암사 야외 불상. - 우암사를 탐방하고 내려오다보면 오른쪽에 남천동으로 이어지는 금련산 둘레길을 만난다. - 편백나무 숲길에서 여름철 피톤치드 항암물질을 마음껏 마신다. 체육공원과 약수터가 있어서 마음껏 운동을 하고 목마름을 해소하니 금상첨화가 아닌가. - 곳곳에 편의시설을 설치하여 가족 단위 단체 등이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과 전망대도 있고, 자연과 산새들을 벗 삼아 몸을 단련할 수 있는 곳이다. - ▲ 금련산 둘레길 체육공원 모습. 
 - ▲ 금련산 둘레길 약수터 모습. 
- 작성자
- 조분자
- 작성일자
- 2020-03-1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