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장고개가 머금은 스토리를 마주보다

내용

바닷물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그릇 모양의 염전이 있는 갯벌이란 뜻의 용호동, 옛날 오목한 포구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그 모양이 소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우암동,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왜적을 쳐부수 었다는 뜻이 지명으로 굳어진 감만동에 살던 사람들은 옛 시절 어디로 시장을 보러 갔을까 참 궁금해진다. 부산 남구에 있는 장고개를 가면 답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그 장고개도 차량이 씽씽 달리는 도로로 변해버렸지만 옛 생각에 차량의 속도를 줄이며 그때의 추억을 되새겨 본다.

 

20170218_163128.jpg

우암동 쪽에서 문현동 쪽으로 넘어오는 고개 이름이 장고개다. 옛날 이 고갯길은 우암동, 감만동, 용호동 사람들이 부산장(현재 자성대의 서쪽 아래 부산진시장 일대의 장터)에 장보러 갈 때 머리에 장바구니와 보따리를 이고 삼삼오오 이야기를 나누며 넘던 고개였단다. 장날에 장에 가신 부모님을 그 장고개에서 어린이들이 기다리던 추억의 고개다. 저 멀리 부모님께서 모습을 보이면 아이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마중을 나가며 식구들을 위해 무엇을 사 오셨나 보따리를 들여다보는 추억이 있는 고개다. 옛적 어려웠던 시절에도 부모님들은 막과자나 눈깔사탕이라도 꼭 사오셨던 기억이 새록새록 피어난다. 특히 명절을 앞두고 대목장이면 설빔이나 추석빔은 어린이에게 큰 선물이요, 검은 고무신 한 켤레, 양말 한 켤레라도 얻어 신으면 세상을 얻는 양 좋아하던 기억이난다. 장고개가 머금은 스토리를 마주보니 검정고무신이 자꾸 그리워지는 것은 나 만의 마음일까?

 

 20170218_163012.jpg

 

 

작성자
김홍표/이야기 리포터
작성일자
2017-03-01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