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태양을 피하는 또 다른 방법

부산시립박물관 숲길 조성되다

내용


6.jpg
  

눈이 초록빛을 더 편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회색 빛 도심에 너무 오래 지쳐버린 반증일까.

본격적인 무더위로 햇볕의 내리쬐는 광선을 피해, 실내 에어컨 공기를 쇠는 것도 시원하겠지만, 아름드리나무 빽빽한 숲의 시원한 바람 줄기와 큰 그늘아래 쉬는 것만 하지 못할 것이다.

 

박물관.jpg
 

부산시립박물관은 68일 오후 3박물관 숲길개장식을 가졌다. 기존의 230m의 박물관을 두르는 길에다, 정문 곁으로 170m의 새 숲길을 내어, 박물관 전체를 우회할 수 있는 숲길을 만든 것이다.

 

5.jpg

 

이 길을 지나다 보면 고풍스러운 박물관 야외 유적들, 석등이며 문관 무관의 형상 그리고 약조제찰비며 각종 비석들과 세월의 무게를 이겨낸 명문이 새겨진 돌들이 신비롭게 다가온다. 수종들도 오랜 세월의 흔적 속에 굵고 그 높이 또한 하늘을 찌를 듯 높아 가히 숲속에 들어온 평온함을 가져다준다.
 

4.jpg


길게 놓여진 암기와 위로 문양을 새긴 수키와가 나란히 정렬하여 만든 돌담은 도심에서 보기 힘든 고궁을 거니는 듯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빼곡히 모여선 대나무 길을 지나 소나무 잣나무 침엽수림을 지나니 팔각정 정가가 반갑게 맞아준다. 더위에 지치고 삶이 고단했던 이웃들이 소담을 나누며 여름을 즐기는 모습을 만난다.

 

2.jpg

 

'부산시민의 상'으로 횃불을 든 여인과 하늘 향해 손을 든 남성의 강한 모습도 부산사람의 강한 의지를 읽어내게 한다. 억척스런 세월의 흔적속에 일제강점기의 아픔과 한국전쟁의 고통을 이겨낸 굳은 표정이 사뭇 진지하다.

 

1.jpg

 

숲은 강제하지 않는다. 초대하고 맞아들인다. 그 숲의 그늘에 한 번 서보면, 숲 바깥 우리 삶을 새롭게 대할 힘을 갖게 된다. 유엔로터리 도심의 한복판 바로 곁에 새롭게 생겨난 이 길 한 번 걸어보시죠.

 

작성자
김광영/이야기 리포터
작성일자
2016-06-09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