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옛 이야기 지줄대는 열녀와 효자비 들여다보기

내용

 부산을 여행하다 보면 각 지역에 있는 열녀와 효자비에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지금은 효에 관한 개념이 많이 퇴색해 버린 시점에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조상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어 좋다. 금정구청 앞마당의 열녀학생김효문처김해김씨지려와 사상구 괘법동의 효자황택용지려가 주는 의미가 크다.

 20160131_105209.jpg 

 

 조선 정조때 기찰마을에 김효문이라는 선비가 김해 김씨 부인과 멍석을 펴고 마당에서 부부가 나란히 잠을 자고 청하고 있었다. 한밤중에 큰 호랑이가 나타나 남편을 잡아먹으려고 물으려는 찰나에 부인이 호랑이의 꼬리를 휘어 잡아 놓지 않았다 한다. 사투 끝에 남편이 죽자 김씨부인은 충격을 받아 목숨을 끊었고 후세 사람들이 그녀를 열녀로 추앙한다. 178910월에 열녀 비각에 모셔졌고, 이후 마을사람들은 남편을 구해 업고 내려왔다고 해서 부산가톨릭대학교 골짜기를 '업은골'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열녀학생김효문처김해김씨지려'1970년 경부고속도로 진입로 확장공사 때 철거되어 도로변에 있다가 200410월 금정구청 금샘뜰로 이전 설치하였다. ‘효자 황택용 지려는 사상구 괘법동 산 28-6번지에 있는 효자비로 나라에서 내린 효자상을 받았던 황택용의 효성을 기념한 비석이다.

   20160131_105209_2.jpg

20160131_105116.jpg
 

 영국의 역사학자 아놀드 조셉 토인비는 한국 문화에서 앞으로 인류에 가장 크게 공헌할 게 있다면 바로 효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요즈음 부모와 자식 간의 단절로 불편을 겪을 때 부산시 각 지역에 있는 열녀, 효자비를 들여다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작성자
이정례/이야기리포터
작성일자
2016-03-2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