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중한복’ 우리한복이 최고이다
- 내용
-
우리국민은 결혼식장에 갈 때는 정장, 장례식장에 갈 때는 검은 정장에 검은 넥타이를 매고 간다. 옛날은 혼례나 상가에 대한 동방예의로 우리의 전통한복이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된다. 부족국가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저고리, 바지, 치마, 모자, 허리띠, 화 또는 이를 착용하는 고유의 양식으로 평상복이나 한복을 입는다.
우리 한복은 삼한사온이 계속되는 자연 조건과 북방 유목민 계통의 문화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속옷부터 겉옷인 두루마기에 이르기까지 몸을 싸는 형식이다. 또 저고리와 바지가 떨어져있고, 앞이 트여 있는 활동적인 옷이다.
궁중한복전시관에 들어서면 조선시대 궁중 복을 만난다. 왕의 복식으로는 '면복', '조복', '상복', '편복' 등이 있다. 면복은 면류관, 곤복으로 대례복이다. 조복은 원유관, 강사포로 초하루 동지 등 신하의 문안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옷이다. 상복은 익선관, 곤룡포로 왕의 일상 집무복이다. 많이 착용하는 상복은 용포라고 한다. 가슴, 등, 양어깨에 금실로 수놓은 다섯 개의 발톱이 달린 오조룡을 달았다.
활옷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공주 및 옹주의 대례복으로 상류 계급의 혼례복이었다. 그 후 일반서민에게 혼례복으로 허용되어 폐백 복으로 사용되고 있다. 활옷의 어원은 하의가 화의 그리고 활의로 변음된 것으로 추정한다. 활옷에는 삼회장저고리와 청홍대란치마 위에 입었다. 홍색봉대를 띈다. 수혜를 신고 머리에는 용잠, 도투락댕기, 칠보화관으로 장식했다.
면복은 왕이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나 정초, 동지, 조회, 수책, 납비 등에 입던 법복이다. 머리에 면류관을 쓰고 곤복을 입는데 곤복은 곤의, 상, 중단, 폐슬, 혁대, 패옥, 대래, 수말, 석, 규로 이루어진다.
적의는 조선시대 후, 비, 빈이 대례복으로 착용한 포로 국왕이 면복을 입을 때 왕비와 왕세자비가 입던 법복이다.
삼베는 대마의 껍질에서 뽑아낸 실로 짜서 만든 직물로 옷감이나 이불감으로 많이 이용한다. 곱고 촘촘하게 짠 삼베는 여름용 고급 옷을 짓는데 이용한다. 거칠게 짠 삼베는 값이 싸서 제품이 생산되기까지 서민들의 여름옷감으로 큰 사랑을 받는다.
모시풀의 껍질을 잘 손질하여 실을 뽑아낸 후 수공으로 짜서 만든 것으로 옷감이 만들어지기까지 사람의 손길이 많이 간다. 옷 두 벌 정도를 만들 수 있는 모시 한 필을 짜는데 보통 닷새 정도 걸린다. 품(인건비)이 많이 드는 만큼 모시직물은 품격이 높고 단아한 멋을 간직하고 있다.
목화에서 실을 뽑아낸 무명은 토속직물로 실용적인 춘하추동의복재료 및 침구 등 기타 생활용품 자료로 많이 이용되는 직물이다.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낸 비단은 다양한 색상으로 짠 고귀하고 화려한 견직물이다. 촉감이 우수하고 부드럽고, 따뜻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염색이 잘되어 다양한 색깔로 화려하게 옷을 만들 수 있다.
한복의 모든 것 체험하는 곳은 부산해운대 벡스코 제1전시관 1층 제2전시관 가는 길모퉁이에 한옥 집이다. 한복체험전시관과 한복 관으로 들어가서 체험을 한다. 입장료는 무료이다. 오전 10시~오후 5시까지다.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은 휴관이다.
- 작성자
- 황복원/부비 리포터
- 작성일자
- 2015-12-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