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시민계획단대토론회 ‘부산의 현재를 말하다’

내용

부산광역시가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 시민계획단대토론회를 지난 8월 8일(토) 오후 2시부터 5시30분(3시간 30분)까지 부산시청1층 대회의실에서 360만 부산시민을 대표하여 부산의 미래상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140명 시민들의 미래부산설계를 위한 '부산의 현재를 말하다' 1차 문화 복지도시 분과위원으로 토의에 참여했다.

2030년 부산시의 미래상으로 '일자리도시 분과', '신해양수도분과', '생활안전도시분과', '균형발전도시분과', '문화 복지도시 분과', '청소년학생 분과' 등 6개 분과별 핵심과제와 추진전략을 도출한다는 취지에 일반시민으로만 구성된 시민계획단 조직으로 부산광역시장이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하면서 시민이 계획한 기본계획을 국토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된다.

이날 1차 회의는 부산시행정부시장의 도시기본계획이란 무엇인가? 라는 주제로 간단하게 기본계획배경을 설명을 하였다. 이어서 부산대학교 서의택 석좌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시에 이어 부산시가 일반시민으로 시민계획단을 선발한 도시로 두 번째가 된다고 하면서 미래 2030년에 부산의 모습을 설계에 심혈을 기울여달라 했다.

토의에 선발된 인원구성은 10대에서 70대까지 다양한 시민들이 선발됐다. 즉 초등학생에서부터 대학생까지 청소년계획단 및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직업인들과 퇴임을 한 공무원 등 미래의 부산기본계획을 수립하는 1차 토의는 3시간 30분이라는 긴 시간동안 진지하게 토의를 했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외국인, 기업인, 소상공인, 시민단체 대표 40명 등 모두 140명으로 시민계획단을 구성하였다. 참여자 중 일반시민이 대부분이다. 독특한 이력을 가진 이들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부산에서 유기견 쉼터를 운영하는 '부산을 사랑하는 사업가' 레오 멘도사(Leo Mendoza·43·미국 국적) 씨가 외국인을 대표해 참가했다.

에코센터 자연환경 해설사 김화자 씨, 향토기업 동진기공 강동석 대표, 박원청 동래시장 이사장 등도 내 손으로 도시계획을 만들어보고 싶어 참여했다. 윤형빈 개그맨도 명예시민으로 참여를 한다.

1차 토의는 기본계획의 밑거름만으로 윤곽을 잡았다. 앞으로 3차에 걸쳐 더 토의를 한다. 2차 토의는 '부산의 이슈를 논하다', 3차 토의는 '부산의 미래를 그리다', 4차는 '부산의 비전을 정하다'로 마무리 하고 전체토론회 및 시민제안서를 부산시장에게 전달을 한다.

작성자
황복원/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5-08-1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