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환경과 문화가 살아 쉼쉬는 구덕문화공원

내용

구덕산 숲속에 위치한 구덕문화공원은 옛날 부산에서 구포로 가는 유일한 길인 구덕령(꽃마을)에 있다. 구덕령은 6.25시절 피난민들이 지천에 피어있는 들꽃을 팔아 생계를 꾸리면서 꽃마을이 되었단다. 전원적 자연환경과 전통문화가 어우러진 이 곳은 교육역사관, 민속생활관, 목석원예관, 다목적관, 자연체험학습장 등이 갖춰져 관광객들에게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2004년 개관한 구덕문화공원은 무인석 등이 전시된 옛돌마당, 솟대동산, 시가 있는 마당, 야생화와 야외 폭포수가 있는 자연체험학습장,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편백명상길이 곳곳에 있다. 산책할 수 있도록 만든 지그재그 길은 사람들의 마음을 한결 편하게 해 주며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삶을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교과서, 학용품, 교육자재 등이 구비된 교육역사관은 한마디로 교육박물관이다. 한국전쟁 중 설치된 천막교사 1970년대 초 책걸상을 보고 있으면 우리 민족의 교육열을 한 없이 느낄 수 있다.
조선시대, 개화기, 일제강점기, 미군정청시대, 한국전쟁, 근·현대사 등을 시대별로 알기 쉽게 전시되어 눈길을끈다. 민속생활관에는 조상들의 의식주 및 놀이, 생업에 관련된 용도별로 분류하여 전시하고 있다. 1층에 들어서면 옹기부터 한복, 사랑방, 장롱까지 의식주 관련 물품들이 가득 찼고 2층에는 짚풀, 전통악기. 놀이기구와 대장간, 베틀, 수렵, 도량형 등 생업에 관련된 용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유리온실의 목석원예관은 사계절 관람이 가능한 자연학습장이다. 돌과 나무, 식물을 작품화한 석부작, 괴석, 아열대 식물 등이 어우러진 식물원, 정원과 화석 등 많은 식물들이 자라고 있어 충분한 볼거리가 된다.
미술품 상설전시관과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다목적관’은 서구 주민들을 위한 공간이다. 전망대에 올라서서 바라본 경치가 “살아있네 서구, 동구!” 절로 나온다. 날씨가 좋을때는 대마도까지 망원경으로 조망된다니 놀랍다.

< 구덕문화공원 안내 >
위치 : 부산시 서구 꽃마을로 163번길 73(서대신 3가)
개관시간 : 3월 - 10월 (09:00 - 18:00) 11월 - 2월 (09:00 - 17:00)
휴관 : 매주 월요일
오시는 길 : 구덕운동장, 동대신동역, 서대신동역에서 마을버스 1번 타고 꽃마을 하차
문의 : 051-240-4711~2

작성자
김홍표/부비리포터
작성일자
2014-10-2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