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생활필수품 ‘자전거’ 안전운행 알고 타자

내용

우리나라는 자전거이용 인구가 일천만 명 시대를 훌쩍 넘기고 있다. 전국 어디를 가든지 자전거전용도로를 만날 수 있다. 국민 5명중 1명은 자전거를 탈만큼 인기가 있는 스포츠 겸 생활체육운동이다. 다섯 살 꼬마 세발자전거에서 80대 어르신까지 탄다는 자전거, 하지만 쉽게만 생각을 하고 페달을 밟았다간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자전거안전운행을 위해서 필수 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

자전거헬멧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는 것은 필수다. 자전거=차로 사고를 당하였을 시 도로교통법을 적용 받는다. 네발 차와 달리 두발자전거는 작은 돌부리에도 큰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안전장비는 필수, 특히 헬멧착용은 사고발생 시 사망률을 90%까지 낮춘다고 한다.

도로 위를 빠른 속도로 달리다 보면 벌레나 먼지가 눈에 들어온다. 썬그라스, 마스크는 기본이다. 자기 눈과 기도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졌을 때를 대비하여 팔목이나 무릎보호대와 장갑도 착용을 해야 한다.

하의는 신축성이 좋고 페달을 밟을 때 바지 밑단이 걸리지 않도록 가랑이가 넓지 않은 바지를 착용한다. 상의는 짧은 반팔보다 땀 흡수를 잘 하며,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밝은 색 옷을 입는 것이 좋다. 슬리퍼를 신고 자전거를 타면 안 된다.

출발 전 브레이크와 타이어 공기압 점검을 해야 한다. 자전거를 타기 전 자동차와 같이 브레이크 작동과 안장의 높이, 핸들 바, 타이어 공기압, 페달 등 사소한 것이라도 점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브레이크는 유압식이 좋긴 하지만 부착 안 된 자전거도 많기 때문에 꼭 점검을 하고 타야 한다.

안장은 자기 신장을 고려 높거나, 낮아도 안 좋다. 자전거를 탈 때 앞에서 보면 수평이 되어야 한다. 뒤에서 보면 틀어지지 않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높이는 앉았을 때 양발이 지면에 살짝 닿는 것이 좋다. 핸들은 자기 어께 넓이로 잡아야 한다.

자전거=자동차다, 보행자를 보호해야 한다.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차와 같이 규정을 하고 있다. 즉 자전거=차라는 등식을 가진다. 자전거도로가 없는 길은 차도를 이용하는데 도로 끝을 이용해야 한다. 자전거를 타고 가다보면 역주행으로 탈 수도 있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만약 차와 부딪친다면 자전거운전가가 가해자가 된다는 사실을 항상 잊지 말아야 한다.

도로 끝을 달리다가 버스가 접근하면 자전거를 멈추고 기다렸다가 버스가 통과 후 길을 가야 한다. 도로가 위험하다고 보도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은 피해야 한다. 단 도로교통법 상 교통사고 취약계층인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보도위에서 자전거통행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하고 있다. 보행자가 우선이라는 것 명심해야 한다.

진로를 바꿀 때는 진로방향으로 팔을 길게 뻗어서 수신호를 해서 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전거를 잘 타지도 못하면서 수신호가 어려울 때는 자전거를 세우고 보행자나 차를 보내고 가는 길을 타고 가야한다. 이점 을 명심해야 합니다.

자전거 관리도 매우 중요하며, 보관도 잘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자전거라고 해도 관리를 잘못하면 자전거수명은 단축된다. 그리고 자전거도 금속 부품들이 많다. 부식 방지를 위해서 기름을 쳐야 하고 보관도 잘 해야 한다. 비를 맞히면 부식은 빠르게 진행시킨다. 비를 안 맞는 곳에 잘 보관하는 것 매우 중요하다. 도난방지를 위해 자물쇠로 반드시 채워야 한다.

한편 장기간 타지 않고 방치를 하면 타이어 표면의 기름기가 증발하여, 타이어가 갈라지고 공기압이 자연 소모되는 현상이 생긴다. 자전거를 닦을 때는 중성세제인 주방세제나 자전거용 세제를 푼물로 스펀지나 솔 등을 이용하여 구석구석 닦는다. 자전거는 절대로 윤활유를 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작성자
황복원/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3-10-2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