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산책과 휴식과 조망 명소 <신포나루공원>

내용

부산 사하구 하단동에서 낙동강하굿둑을 지나서 강서구 명지동 방향으로 가면 하굿둑 다리 끝 오른쪽에 신포나루공원이라는 색다른 명소가 있습니다. 신포나루공원은 맥도생태공원 자전거 길의 출발점으로 1987년 하단동과 명지동을 연결하는 낙동강하굿둑 다리가 연결되면서 명지 특산물인 소금과 게젓의 명성이 사라지며 공원으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7731
휴식용 팔각정 정자.

 

신포나루공원에는 잔디광장을 비롯하여 산책길이 있고 철새 관찰을 위한 목재 데크와 휴식용 팔각정 정자도 있어 편히 산책하거나 쉬며 각종 철새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잔디광장의 산책길 길이는 약 1km가량 되는데 걷기에는 나무랄데 없이 좋습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8614
조류 관찰 목재 데크.

 

신포나루공원을 걷다 보면 간헐적으로 마치 질투하듯이 굉음을 내며 머리 위 하늘에서 김해공항으로 착륙하기 위한 비행기가 지나가지만 조용한 산책에 별다른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휴일이든 평일이든 신포나루공원은 산책을 하거나 편히 휴식하는 장소로 혹은 철새 관찰을 위한 장소로 안성맞춤입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8963
휴식용 의자.

 

한편, 신포나루는 조선시대 소금 교역의 대표적인 포구로 유명했던 명지 영강나루가 낙동강 제방 축조 공사로 1930년대 그 기능을 잃게 되자 이곳 신포시장 맞은편으로 포구를 옮겼습니다. 이후 낙동강 연안의 상업 주도와 함께 오랜 세월 수로교통 요충지로 번성해 왔습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9271
잔디광장.

  

특히 명지 특산물이었던 소금과 게젓의 명성은 자자했습니다. 쌀농사로 부적합했던 명지 사람들은 소금과 게젓을 생산해서 내륙의 주요 곡물과 교환했습니다. 그래서 당시 명지에는 명지처녀 쌀 서말 먹고 시집가면 다행이란 말까지 나돌았을 정도입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9659
자전거 길과 산책길.

 

이처럼 신포나루는 여러 지역 특산물을 수송하던 포구와 하단~신포 사이의 도선을 운항하던 선착장으로서의 기능을 가진 동시에 모래톱 사람들의 희비와 애환이 진하게 스민 곳이었습니다.

KakaoTalk_20250302_045509986
화장실.

 

하지만 지난 1987년 명지와 하단을 잇는 낙동강하굿둑이 들어서고나서는 신포나루의 기능은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단지 옛 신포나루의 명성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만이 이곳을 지나는 통통배의 잔잔한 물결 속에 투영되고 있을 뿐입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5-03-0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