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장애를 극복하는 사람은 더 이상 장애인이 아니다

내용

장애를 가진 사람이 운전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뒤집어서 생각해 보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에 운전이 더 필요합니다.

스웨덴 태생으로 태어날 때부터 두 팔이 없고 한쪽 다리는 극히 짧은 상태로 태어난 ‘레나 마리아’. 중증장애를 갖고서도 성악도 하고 수영도 하며 심지어 운전을 하는 모습을 보며, 새로운 것에 도전하지 못하는 내 삶에 작은 도전을 주었던 것을 기억하게 됩니다.

레나 마리아씨가 운전을 하는 모습.

레나마리아는 자신의 인생을 직접 쓴 책, ‘발로 쓴 내 인생의 악보’를 출간했는데요, 세계를 돌며 아름다운 노래를 들려주고,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마리에게 물었습니다.

“왜 그리도 밝을 수 있느냐?”

그녀의 거침없는 대답

“밝지 않을 이유가 내겐 없으니까요?”

“자신이 무언가를 혼자서 할 수 없으면 그 사람은 장애인이지만, 혼자서 할 수 있다면 그 때는 더 이상 장애인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더 이상 장애인이 아니다.”

몸이 불편할수록 첨단 시스템의 도움이 필요하고, 장애에 대한 배려가 늘어갈수록 선진화된 사회가 되는 척도가 되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중증 장애인의 운전교육은 국립재활원과 송파구청 등 수도권에 있는 2곳에서만 가능했는데요,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인구의 55.7%가 운전면허를 소지했지만 등록 장애인 중 운전면허를 소지한 사람은 5.4%에 불과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찰청은 중증 장애인의 면허 취득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운전지원센터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부산에서도 ‘장애인운전지원센터’를 남부운전면허시험장에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곳에서는 장애인의 운동능력 평가와 측정은 물론 운전교육과 면허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 특수 개조차량을 이용해 1급에서 3급의 중증 장애인이 학과, 기능, 도로주행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 응시를 원하는 장애인분들은 신분증과 장애인 복지카드를 가지고 남부면허시험장에 있는 ‘장애인운전지원센터’를 방문하면 상담과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문의는 지역번호051, 610에 8088번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작성자
김광영/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3-11-26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