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부산 임시수도기념관 고무신 전시 눈에 띄네

내용

부산 서구 부민동에 자리한 임시수도기념관에서 1130일까지 특별기획전으로 고무신을 전시하고 있어 눈길이 간다. 임시수도기념관에서 고무신 전시가 좀 색다르지만 고무신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부산 지역에서 고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신발이라고 뜻풀이를 할 정도로 부산과 깊은 관계가 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0204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0608
 

임시수도기념관은 6.25 한국전쟁 이후 부산의 대표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던 고무신 산업의 발전 역사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고무신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조명하고자 해서 고무신 특별 전시를 하게 됐다고 한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1000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1385
 

이번 고무신 전시는 고무신의 도입과 국산화, 부산 고무신 시대, 일상 속의 고무신 등 총 3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구성돼 있다. 우리나라에 고무신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0년대 말 일본에서 수입되면서부터였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1697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2580
 

고무신은 1919년 조선에서 자체적으로 생산이 시작되었고, 1921년부터 한국형 고무신이 나왔다. 한국형 고무신은 폭이 넓고 굽이 낮으며, 신발 덮개가 반만 있는 형태이다. 남자 고무신은 짚신을 본떴고, 여자 고무신은 울이 깊고 앞코가 작은 가죽신인 당혜를 참고해 만들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2893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3204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3528
 

내구성과 방수성이 짚신보다 훨씬 뛰어난 고무신은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크게 각광받았다. 부산에서는 1923년 일영고무공업소를 시작으로 삼화호모(광복 후인 1946년 삼화고무로 변경해 정부가 관리), 보생고무공업소 등이 설립되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3879
 

일제 식민지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고무신은 국민 신발로서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그 배경에는 삼화고무·보생고무·국제화학·태화고무·대양고무·동양고무·진양화학 등 대부분 부산진구에 자리 잡은 부산의 고무신 기업들이 있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4611
 

고무신을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으로 발전시킨 주역은 다름아닌 수많은 여공이었다. 돈을 벌기 위해 농어촌이나 주변 지역에서 많은 여성들이 부산으로 들어왔다. 이들 여공은 강한 생활력으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견디며 동구 범일동 안창마을 같은 공장 주변 마을에 자리 잡으며 생활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815_051934945
 

고무신 산업은 1960년대 주요 수출산업으로 부산과 한국 경제를 일으켰지만, 1970년대 이후 운동화가 대중화되면서 명맥만 유지해 왔다. 이번 고무신 전시에서는 부산에서 성장한 대표적인 고무신 기업 관련 유물 및 사진, 영상자료를 볼 수 있다. 1950~60년대 고무신과 함께한 부산시민들의 일상을 기록한 부산 1세대 사진작가인 정인성과 그의 아들인 정영모의 작품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작성자
이옥출
작성일자
2024-08-1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