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경상좌수영 다대진 첨사 공무용 건물 <다대진 동헌>

내용

부산시 사하구 다대포 몰운대에는 다대진 동헌이란 유서 깊은 문화재가 있습니다. 다대진 동헌(多大鎭 東軒)은 조선시대 동래 지역 수군(水軍) 군영인 다대포진의 첨사가 정무를 보던 건물입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720_092734369
다대진 동헌 전경.

 

이 건물을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조선 순조 25(1825)에 다시 지었다고 전해지며, 관아 일곽의 하단 구역에 위치했던 동헌 건물로서 용맹하고 굳건하다는 뜻으로 범에 비유하여 수호각(睡虎閣)’으로도 불렸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720_092734662
'수호각' 글자 새긴 현판.

 

시간이 흘러 방치돼 있던 것을 다대포실용학교의 학교 건물로 사용되다가 다시 다대초등학교의 건물로 사용되었고, 1970년 다대초등학교 운동장 평탄화 공사 때 지금 장소인 몰운대로 이전 복원했는데 이때 학교 관계자들이 건물을 객사로 잘못 기록하여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3로 지정될 당시 다대포 객사라는 이름으로 등록했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720_092734963
다대진 동헌 내부 모습.

 

이후 이 건물이 객사가 아닌 동헌임이 밝혀지면서 20207월 부산시 문화재 위원회 심의에서 다대진 동헌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앞면 5,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입니다. 1980년 기둥과 마루를 보수하고 단청공사와 현판을 설치하였습니다.

수정됨_KakaoTalk_20240720_092735277
주변에 설치한 휴식용 의자.

 

예로부터 다대포는 왜구를 막기 위한 군사요충지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으며, 임진왜란 이후 부산진과 함께 다른 진보다 특별히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다대진 동헌은 다대진 성 안에 있던 관아 건물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건축물입니다.

다대포를 방문하거든 피서나 휴식을 충분히 즐긴 뒤에 잠시 시간을 내서 몰운대에 자리한 다대진 동헌을 찾아 문화재로서의 가치와 거기에 담긴 역사성을 되새겨보면 어떨까요? 아주 유익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4-07-2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