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기획연재

범어사 남쪽 산등 ‘남산동’

부산의 지명 유래 - 금정구의 동명

내용

오늘날의 금정구는 동래도호부 시대에는 동래부 북면(北面)이 된다. 동래부지(1740년 발간)에 의하면 북면에는 부곡리(釜谷里) 선동(仙洞) 두구리(豆口里) 작장리(鵲掌里) 소산리(蘇山里) 남산리(南山里) 구세리(仇世里) 장전리(長箭里) 산성리(山城里)로 되어 있다. 1868년에도 북면에는 변동이 없다.

구한말의 1904년에는 금양동(錦陽洞) 기찰동(機察洞) 현동(賢洞) 하정동(河亭洞) 신천동(伸川洞) 부내동(敷內洞) 태두동(太荳洞) 중리동(中里洞) 죽전동(竹田洞) 송정동(送亭洞) 노포리(老圃里) 청룡동(靑龍洞) 두실리(斗實里) 등 세분화된 동리명이 생기면서 종전의 두구리(豆口里)가 두구동(杜邱洞)으로, 소산리(蘇山里)가 소정리(蘇亭里)로 구세리(仇世里)가 구서동(久瑞洞)으로 표기가 바뀌고 종전의 선동, 작장동, 장전동, 산성리는 그대로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북면인 현재의 금정구는 금사동 금성동 남산동 노포동 두구동 부곡동 서동 선동 오륜동 장전동 청룡동 회동동이다.

이 가운데 금사동(錦絲洞)은 조선시대에는 동상면(東上面)에 속한 지역으로 자연마을인 금천(錦川)마을과 사천(絲川 : 실내)마을이 일제 초기에 합쳐지면서 그 첫 글자를 따서 동명 '금사'라 한 것이다.

금성동(金城洞)은 금정산성 안의 마을이 되어 산성리(山城里)라 하다가 일제 초기에 금정산성의 '금'과 '성'을 따서 금성동이 됐다.

구서동(久瑞洞)은 본래는 구세리(仇世里)라 했는데 중국 당나라의 장공예(張公藝)는 9대(代)가 한집에 살아 집안이 화목했다는 '구세동거(九世同居)'에서 왔다는 말이 있다. 또 하나는 굿판, 굿터에서 온 말로 이 마을 위의 금정산에 가물 때 비오기를 비는 기우소(祈雨所)인 번우암(飜雨岩)이 있어 구세(仇世)라 했다가 뜻이 좋은 한자 구서(久瑞)로 바꾸었다고 한다.

남산동(南山洞)은 '범어사의 남쪽 산등'이란 뜻으로 남산동이 되었다고 한다.

노포동(老圃洞)은 작장리(鵲掌里)와 소산리(蘇山里)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노포동의 노포란 '농사를 잘 짓는 농부'를 뜻한다. 이곳에는 농토가 풍부한데도 원인이 있을 것이다.

두구동(杜邱洞)은 두구리(豆口里)로 썼던 마을이다. 부내리(敷內里) 태두리(太荳里) 중리(中里) 죽전리(竹田里) 송정리(送亭里)라 한 그 마을이 모두 두구동에 속하게 됐는데 처음의 두구리는 이름이 속되다 하여 조선말에 두구동(杜邱洞)으로 바꾸었다.

부곡동(釜谷洞)은 금양동(錦陽洞) 기찰동(機察洞)이 금곡동에 속하게 되었다. 부곡동이란 이름은 '가마실'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부곡동에서 서동(書洞)으로 넘어가는 산 모양이 가마솥 모양이 되어 그리 말한 것으로 본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2003년 9·10월호
작성일자
2013-04-23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