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기획연재

억새와 띠의 벌판 ‘새띠벌’

부산이야기 ‘부산 지명유래’ - 초량

내용

부산의 중심가로 뻗어내린 산등성이는 동·서로 나뉜 두 갈래다. 그 하나는 엄광산에서 동쪽으로 수정산(수정동) 구봉산(초량) 용두산(광복동)의 갈래이고 또 하나는 서쪽의 구덕산(서대신동) 아미산(아미동) 천마산(남부민동)의 갈래이다.

이 두 갈래 산등성이와 그 안쪽인 오늘날의 초량동 영주동 동광동 지역도 부민동 충무동 초장동 남부민동 부평동 지역도 1678년 용두산 주위로 초량왜관이 들어서기 이전까지만 해도 억새와 띠가 우거진 초원(草原)지대였다. 그래서 억새와 띠의 벌판이라 하여 '새띠벌이라 했다.

이 '새띠벌'에 취락을 이루어 마을이 형성된 것은 서구의 부민동쪽이 먼저인 것 같다. 그래서 초량리(草梁里)라 했다. '초량'이란 말은 풀<草>이 우거진 등성이 <梁:대들보·언덕>이란 뜻이다.

그런데 역시 새띠벌이었던 지금의 동구 초량동의 산등성이 쪽으로도 취락이 이루어져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그곳도 초량리라 했다. 그러니 그 당시는 광범위한 새띠벌 전체가 초량이란 이름을 가졌다.

1678년 용두산 주위에 왜관이 들어서자 그 왜관을 '초량왜관'이라 한 것도 이 광범위한 '새띠벌'의 초량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의 부민동쪽 초량과 초량쪽 사이에 점차 집이 들어가면서 마을이 형성되어 갔다. 그리고 양쪽 초량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었다. 그렇다고 관습화한 마을 이름을 쉽게 고칠 수도 없었다.

그래서 부민동쪽 초량을 구초량이라 하고 초량쪽 초량을 신초량이라 했다. 1740년에 발간된 동래부지(東萊府誌)도 행정동리명을 그렇게 신초량리와 구초량리로 나누어 구별하고 있다.

하지만 신(新)·구(舊)로 구별하였다 해도 같은 초량이란 이름이 붙어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그래서 정현덕(鄭顯德:1867∼1874 재임)부사가 구초량리를 부민리(富民里)란 덕스러운 이름으로 고치고 신초량리를 초량리로 하게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행정구역의 동명으로 등재(登載)된 것 같지는 않다. 그것은 1899년 발간의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가 사천면(沙川面)에 신초량리를 동래부 관문에서 27리(里) 떨어져 있다고 적고 구초량리를 37리 떨어져 있다고 따로따로 적고 있기 때문이다.

부민동과 초량동의 이름이 분명하게 나누어져 기재된 기록으로는 1904년 동래군 가호안(家戶案)에서 볼 수 있는데 이때로 해서 사하면(沙下面)에 부민동이 사중면(沙中面)에 초량동이 동래군의 12개 면(面) 154동(洞)의 행정동면 가운데 실려 있다.

1904년의 가호안에 의하면 새띠벌에 영주동(瀛州洞)과 부평동(富坪洞)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고 부민동 이남의 오늘날의 아미동 충무동 초장동 남부민동 그 모두가 부민동에 속해 있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새띠벌에는 메추라기가 많아 그물로써 메추라기를 많이 잡았다는 새띠벌의 지금은 부산의 중심가가 되어 있다. 메추라기도 억새풀도 띠풀도 찾아볼 수 없다.

충무동에서 초장동으로 오르는 고개를 '새띠고개'라 했던 그 천마산고개도 차량들의 엔진소리만 요란할 뿐이다.

글/최해군·향토사학자

작성자
부산이야기 2001년 1·2월호
작성일자
2013-01-1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