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戌), 옛 그림으로 만나는 다양한 모습
부산박물관 7월1일까지 열두 번째 열리는 새해 띠 전
- 내용
부산박물관은 2018 무술년(戊戌年) 황금 개띠 해를 맞아 테마전시 ‘인간의 오랜 벗, 개’를 열고 있다.
부산박물관은 그 해 십이지 동물과 관련된 전통 문화와 민속을 소개하고, 새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시민과 함께 나누는 띠전시를 2007년부터 열고 있는데 올해는 열두 번째 전시다.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에서는 하늘의 기운을 나타내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간지라고 하고, 이 둘을 조합해 연도나 날짜를 나타낸다. 2018년은 천간의 무(戊)와 지지의 술(戌)이 만나 60간지 중 35번째 해다. 무는 오방색 중 황색, 술은 개를 의미하므로 무술년은 황금 개띠 해이다.
▲김숙경 ‘삽살이의 연가’.개는 동물 중 가장 먼저 인간과 함께해온 가장 친근한 동물로 다정하고 믿음직한 인간의 오랜 벗이다. 특유의 충성심, 용맹성, 영리함으로 ‘충직’과 ‘수호’를 상징한다. 땅을 지키는 십이지신 중 열한 번째 동물인 개는 서북서 방향을 지키는 방위의 신이자 19∼21시를 담당하는 시간의 신이다. 또한 도둑으로부터 집을 지키고, 악귀를 쫓는 등 거주 공간을 수호하는 존재로도 인식됐다. 이러한 개에 대한 인식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는데, ‘동국세시기’에는 "개 짖는 소리에 묵은해의 재앙이 나간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같은 믿음에 따라 선조들은 액을 막는 주술적 의미로 개 그림을 세화(歲 )나 부적으로 사용했다.
개는 한자로 ‘술(戌)’이고, 술은 ‘지킬 수(戍)’와 글자 모양이 비슷하다. ‘지킬 수(戍)’는 ‘지킬 수(守)’, ‘나무 수(樹)’와도 음이 같다. 즉, 나무 아래 개는 ‘술수수수(戌戍樹守)’로 ‘도둑맞지 않게 잘 지킨다’는 뜻이다. 나무 아래서 어미 개가 새끼를 돌보는 모습은 도둑과 잡귀로부터 가정의 화목을 지킨다는 의미, 긁는 개는 집안에 복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
개는 일반회화에서도 즐겨 사용된 소재다. 이암(1507∼1566) 이경윤(1545∼1611) 김두량(1696∼1763) 김홍도(1745∼1806 이후) 장승업(1843∼1897) 등 조선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인화가와 화원들이 남긴 빼어난 그림이 숱하게 많다.
이번 전시는 전통문화 속에서 선조들의 삶과 함께 해온 개를 주제로 한 다양한 미술작품을 만날 수 있다. 무형문화재 제20호 목조각장 청원스님이 제작한 ‘목조십이지신부조상(개)’을 비롯해 조선 회화 속 개 이미지, 개를 주제로 한 현대 세화(歲 ) 작품 12점 을 만날 수 있다.
부산박물관 동래관 2층 서로비. 전시기간 7월 1일까지.
문의 (051-403-1193)
- 작성자
- 김영주
- 작성일자
- 2018-02-2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81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