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묵·막걸리… ‘부산의 맛’ 먹고, 만들어보자
영도 어묵전시체험관, 금정산성 막걸리 체험
- 내용
-
“니들이 부산 맛을 알아?”
먹을거리 많다고 소문난 부산. 밀면, 돼지국밥도 유명하지만, 부산 하면 어묵과 막걸리를 빼 놓을 수 없죠. 부산 어묵은 쫀득쫀득한 식감에, 입 안 가득 퍼지는 고소한 어육의 향기가 일품. 어묵계의 군계일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금정산성 막걸리는 어떻습니까. 금정산 내려오는 길에 막걸리 한 사발. '캬~' 소리가 절로 납니다. 깊고 그윽한 그 맛. 분명 다른 곳에선 맛보기 힘든 '부산의 맛'입니다. 이 부산의 맛, 먹어보고 직접 만들어 보는 자리가 있다고 하는데요. 부산의 맛 체험장을 소개합니다.
□영도구 어묵전시체험관 삼진식품
부산 명물인 어묵의 제조과정을 보고 체험하는 어묵전시체험관이 영도에 생겼습니다. 영도구 봉래시장 한 쪽에 있는 삼진식품의 '수제어묵공장'이 그곳입니다. 삼진식품은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어묵업체로 '부산기네스'에 이름을 올린 곳입니다. 영도구 공장이 1953년부터 어묵을 만들던 곳입니다.
수제어묵공장은 옛 공장 건물을 리모델링해 지상 2층, 넓이는 260여㎡의 규모로 문을 열었습니다. 1층은 빵집같은 분위기의 판매점과 어묵 생산 과정을 그대로 볼 수 있는 공장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공장 한쪽이 유리창으로 되어 있어 장인들이 생선을 갈고, 반죽을 손으로 빚고 튀겨내는 일련의 과정을 훤히 볼 수 있습니다. 벽에는 부산 어묵의 역사를 벽화로 정감있게 그려놨습니다.
매장 가운데 판매대에는 어묵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는데요. 그 종류는 정말 다채롭습니다. 평범한 어묵부터 매콤한 땡초, 버섯, 콩고구마, 우엉연근, 단호박, 오징어볼, 치즈소시지말이, 잡채말이 등등등. 입구에 있는 쟁반과 집게를 들고 취향에 맞는 어묵을 고르면 됩니다.
어묵은 종류에 따라 개당 300~700원까지. 특별 메뉴인 어묵고로케는 1천원입니다.
깔끔한 내부와 특이한 어묵들로 입소문이 쫘~악 퍼졌는데요. 각종 매스컴, 블로거들의 방문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남편과 함께 어묵 쇼핑(?)을 온 김경하(경기도 파주·30)씨는 "지인이 어묵을 사 들고 와 처음 먹어봤는데 너무 맛있어서 직접 사러 왔다"며 "갓 나온 따끈따끈한 어묵을 먹어보면 팬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어묵박물관은 먹는 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다음달 9일 박물관 2층에 어묵의 역사를 배우고, 만들어 보는 체험관이 문을 엽니다. 어묵의 역사를 영상으로 배우는 영상 감상실, 직접 어묵을 만들어 보는 조리실, 옛날에 어묵을 만들던 기계를 전시한 어묵전시관까지 착착 준비중입니다.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99번길 36
· 문의 : 051-416-5486, www.samjinfood.com
□500년 역사, 막걸리 빚어보세요금정산성막걸리의 역사는 무려 500년. 금정산성의 역사보다 더 오래됐는데요. 금정산성을 쌓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든 인부들에게 새참 대신 대접한 것이 산성막걸리였다고 합니다.
알콜 도수가 높지 않고, 달달해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막걸리. 막걸리 열풍이 불면서 직접 막걸리를 만들어 보는 막걸리 체험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산성문화체험촌에서 금정산성막걸리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금정산성문화체험촌에서는 대한민국 민속주1호 금정산성 막걸리를 만들어 볼 수 있다.막걸리 만드는 법은 이렇습니다. 먼저 통밀을 빻아 말려 누룩을 빚습니다. 그 다음 누룩을 잘게 부숴 고들밥과 비빕니다. 이것이 바로 술밥. 이 술밥을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옮겨 담고, 조청을 얹습니다. 그 후 위에 물을 붓고 일주일 정도 숙성시키면 막걸리 완성!
산성문화체험촌에서는 물을 붓는 과정까지 진행하는데요. 이렇게 만든 막걸리는 집으로 가져가 발효시켜 마시면 됩니다. 막걸리 강사님이 발효시키는 법을 알려주고, 시음할 수 있는 완성품 막걸리도 한 병 줍니다. 막걸리체험 참가신청은 5명 이상 단체로 예약해야하고, 1인당 참가비는 1만5천원. 체험시간은 약 1시간정도.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죽전2길 42
· 문의 : 517-6848, sanseong.invil.org봄철 나들이, 수려한 풍경이 있는 관광명소도 좋지만, 가까운 곳에서 부산의 먹거리 만들기 체험 어떠세요?
※이 글의 전문은 부산시 공식 블로그 쿨부산(blog.busan.g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글· 조현경 / 사진· 문진우
- 작성일자
- 2014-03-1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21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