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올해 2조1천억원 투입 일자리 19만2천개 창출
반도체·신소재·미래차 등 첨단산업 육성 일자리 확충
- 내용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 부산광역시는 올해 2조1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9만2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5~64세 고용률 67.1% 달성을 목표로 한다. 부산시는 지난 4월 1일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최근 고용시장 변화를 반영해 수립됐으며, 15~29세 청년고용률 46.3%, 15~64세 여성 고용률 59.0%, 상용근로자수 94만명 등 세부 목표도 함께 제시했다.
부산시는 올해 2조1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9만2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사진은 지난 4월 8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공공기관 합동 채용설명회). 사진제공·국제신문
부산시는 올해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일자리 창출 목표를 역대 최대 규모인 19만개 이상으로 잡아 민간 기업의 고용 안정과 일자리 창출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올해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은 ‘시민행복 미래 일자리 중심도시 부산’이라는 비전 아래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4대 전략 16개 실천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해 관광·전시 복합산업(마이스) 등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을 강화하고, 고용서비스 기능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불일치(미스매치)를 해소한다. 중년층 정규직 일자리 창출을 위한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최근 경기 부진으로 취업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패키지사업’을 새롭게 시작한다.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디지털 인재 양성과 디지털산업 기반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반도체, 신소재, 미래차 등 미래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기계부품, 신발·섬유, 조선·기자재 등 지역 주력산업 고도화에도 집중한다. 이와 함께 지역기업 혁신성장을 주도할 부산형 선도(앵커)기업을 선정·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해보다 315억원 늘어난 8천93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제공해 안정적인 성장을 돕는다.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을 위해 첨단 업종을 중심으로 우수기업 투자유치에 총력을 기울인다.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를 본격 가동해 지역기업과 대학의 혁신을 지원한다.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유망 창업기업을 육성해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금융 기회발전특구 조성, 한국산업은행 이전, 디지털금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금융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쓸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2033년까지 총 2조3천억원 규모의 가칭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에 앞장선다.
부산시는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여성·장노년·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청년 구직단계별 맞춤 지원사업인 ‘청년잡(JOB) 성장 프로젝트’를 확대해 청년의 취업부터 직장 적응, 고용 유지까지 일괄 지원한다. 청년들의 근로의욕 고취를 위해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 카드’와 ‘기쁨 두배 통장’를 확대 시행한다. 어르신들을 위해서는 ‘우리 동네 사회가치경영(ESG)센터’를 5곳에서 10곳으로 늘려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계속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부산시의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사전정보공표(www.busan.go.kr/ghopen0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일자리정책 종합계획 추진으로 고용시장 활성화와 지역 주도 일자리 창출에 혼신을 다할 것”이라며 “특히 일자리 취약계층을 적극 지원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디지털·친환경 등 미래 일자리 창출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25-05-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50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