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래항공 협의체’ 출범… 차세대 항공산업 주도
대한항공 등 항공사·부품 기업·대학·연구기관 36곳 참여
- 내용
부산 강서구 김해공항 서쪽 제2에코델타시티에 ‘미래항공 협력지구(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민‧관 협의체가 출범했다. 최근 정부로부터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돼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결정된 제2에코델타시티에 부산의 미래 먹거리인 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이 함께 발 벗고 나선 것이다.
부산 제2에코델타시티에 ‘미래항공 협력지구’ 조성을 위한 민·관 협의체가 출범했다(사진은 김해공항 항공기 이륙 모습과 협의체 출범식).사진제공·국제신문부산시는 지난 3월 26일 산업계‧학계‧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 협의체’ 출범식을 갖고, 36개 기업‧기관과 ‘차세대 항공산업 글로벌 공급망 주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의체에는 (주)대한항공‧(주)성우하이텍‧디알비오토메이션(주)‧국도화학(주) 등 항공사와 항공기 부품 관련 기업, 부산대‧한국해양대‧부경대‧동아대‧신라대 등 학계, 한국소재융합연구원‧한국로봇융합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이 참여했다.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 협의체’는 부산시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미래항공 산업육성을 위한 △전략 분야 기술개발 △기술 지원 기반 시설 구축 △제도 마련 및 규제 해소 등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민항기 제조의 경량화, 고속 생산, 친환경 생산이라는 업계 흐름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개발(R&D), 관련 기업 육성을 지원해 항공 부품 글로벌 공급망에서 주도적 위치를 선점하겠다는 목표다.
또한 도심항공교통(UAM)과 드론 등 미래항공 모빌리티 분야 산업육성을 위해서도 시범사업 지역을 지정하고 실증사업을 통해 부품 국산화를 추진한다.
부산시는 지난 2022년부터 28억원을 투자해 지역기업 대상으로 항공 부품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도심항공 모빌리티 관련 부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항공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인공지능(AI) 자율 제조 선도프로젝트’를 유치하고, 첨단 제조 실증센터 건립과 실증 지원 핵심 장비 도입을 준비하는 등 미래항공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마중물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시는 항공 부품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와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도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지난해 3월 독일의 항공기 복합재 핵심 소재부품 기업 ‘에어버스 CTC’사와 ‘부산 미래 항공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후속 조치로 ‘에어버스 CTC’사와 국내 항공기업이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 사무실을 개소해 항공 부품 복합재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25-05-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50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