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일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전통시장서 장보기 어때요?
요즘 선물은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이 대세
부산, 지난해 160억 판매, 306억 회수
이번 주 일요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 내용
부산지역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이 오는 24일부터 매월 2·4주 의무휴업에 들어갑니다. 더불어 매일 오전 0시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도 영업을 할 수 없습니다.
부산시는 오는 24일부터 동구와 동래·금정구, 기장군 등 4개 구·군의 대형마트 등의 영업규제를 담은 ‘유통기업 상생발전 및 전통상업보존구역 지정 등에 관한 조례’ 시행에 따라 부산전역 대형마트와 SSM 등 120여 곳에 대한 영업규제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에서는 이미 북구가 지난해부터, 중·서·영도·부산진·해운대·사하·강서·연제·사상구 등은 지난달부터, 남·수영구는 이달 초부터 영업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동래구는 의무휴업은 24일부터 시행하되, 영업시간 제한은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합니다. 마트가 문을 닫아 본의 아니게 불편을 겪는 시민이 있겠지만, 이왕이면 이번 기회에 부산지역 전통시장으로 발걸음 한 번 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늘고 있다. 특히 부산은 판매액 대비 회수율이 191%에 이를 정도로 온누리상품권이 부산 전통시장에 큰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사진은 부산 전통시장에서 물건값을 온누리상품권으로 지불하는 모습.요즘, 장안의 화젯거리가 있습니다. 전국 전통시장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이 인기라고 합니다. 특히 부산은 온누리상품권 인기가 그야말로 폭발적입니다. 판매액 대비 회수율이 191%에 이를 정도로 온누리상품권이 부산 전통시장에 큰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지역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은 160억원으로 전년 127억원보다 26%가량 증가했습니다. 부산 전통시장 143곳과 지하상가 등 가맹점에서 사용돼 회수된 상품권은 306억원으로 2011년 162억원 대비 89%나 급증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판매액과 사용이 크게 늘어난 것은 우선 소비자와 상인들의 인식 개선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사실 예전에는 전통시장에서 물건값을 지불할 때 시장상인들조차도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값을 치르는데 불만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부산시가 시장별 상인교육을 실시하고, 꾸준히 홍보를 강화하면서 상품권에 대한 인식이 크게 나아졌습니다. 부산지역 공공기관과 기업이 온누리상품권 구매하기 캠페인 등을 통해 구매에 적극 나선 것도 소비자 인식 개선에 큰 도움을 준 것도 사실입니다.
부산지역 지하상가에서도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다. 사진은 광복지하도상가 모습.특히, 부산을 찾는 외지 관광객이 온누리상품권을 부산에서 집중적으로 사용한 것도 상품권 유통이 확산되는데 한몫했습니다. 부산을 찾은 외지 관광객들은 해운대나 센텀시티 등을 많이 찾지만, 이에 못지않게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보다 부산의 특징과 멋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자갈치시장과 국제시장, 부전시장 등 부산 전통시장도 많이 찾고 있습니다. 이들 관광객들이 외지에서 구입한 상품권을 부산 전통시장에서 많이 사용한 것입니다.
또 서울과 수도권에 살고 있는 부산 출신들이 명절과 연말에 상여금 형태로 받은 상품권을 부산에 살고 있는 부모님과 친지에게 선물한 것도 상품권 유통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부산은 지난해 온누리상품권을 160억원어치 판매했으나 306억원가량을 회수해, 회수율이 191%에 달합니다. 서울 77%, 경기 39%인 것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입니다. 외지 관광객 증가와 출향인사들의 부산사랑이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준 것입니다.
부산 북구지역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인 구포시장.한편 부산시는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사용 확대를 위해 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전통시장을 180개로 넓히고 기업의 상품권 구매 확대, 외지 관광객에 대상 부산 전통시장 홍보에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이번 주말, 망설이지 말고 집 근처 전통시장 한 번 찾아보시죠. 아참, 온누리상품권은 부산은행 지점과 새마을금고, 우체국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3-02-2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