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경기불황 오면 신규채용부터 줄여
- 내용
국내 기업들은 경기불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신규 채용부터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월간 인재경영이 기업인사담당자 229명을 대상으로 '불황에 대처하는 기업의 자세'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불황에 대비해 국내기업들은 채용인원부터 줄이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불황기에 기업이 유지 또는 성장하려면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종업원수 100명 미만의 중소기업은 △1순위로 신규채용 인원을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다. △2순위로 사내 행사 축소 △3순위 사무비품 지출비 축소라고 답했다.
직원수 100~500명 미만의 중견 기업에서는 △1순위로 신규채용 인원 축소 △2순위는 사무비품 지출비 축소 △3순위로 사내 행사 축소라고 답했다.
직원수 500명 이상의 대기업은 △1순위로 사내 행사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순위 사무비품 지출비 축소 △3순위 명예퇴직 신청 등 구조조정을 통한 적정 인원관리 순이었다.
이 외에도 기업들은 불황기를 대처하기 위해 △직원복리후생 제도 축소 △성과가 저조한 직원 해고 △비정규직 해고 △시간 근무 외 수당 폐지 △교육훈련비 예산 삭감 △기본급 삭감 등의 조치를 취한다고 답했다.
설문에 응한 229개의 기업 중, 최근 3년간 구조조정 또는 희망퇴직자 신청 등 인력조정을 진행한 곳은 22.7%에 달했다.
이들 기업이 인력조정을 한 이유는 △기업 자체 경영상황이 좋지 못해서를 꼽은 곳이 50%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경제위기에 대처하기 위해(30.8%) △새로운 사업 진행으로 인해(7.7%) △인수·합병 등(7.7%)의 이유였다.
구조조정을 진행한 이후, 직원들은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48.1%가 '위기감 및 배신감을 느끼고 이직 및 퇴사를 고려한다'고 답했고, 13.5%가 기업대표·임원이 무능력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더 열심히 일해 기업경영상황을 정상화 하려고 직원 스스로 노력한다'는 의견은 30.8%에 불과했다.
- 작성자
- <자료제공=잡코리아>
- 작성일자
- 2013-02-1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64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