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 졸업해도 힘든데, 부산 고졸자 삼성 간다!
부산마이스터고 1기생 성공신화…대기업 '모시기' 경쟁
- 내용
“중학교 친구들에게 현대자동차 입사가 확정됐다는 이야기를 하면 처음에는 믿지 않았어요. 현대차 하면 모두가 부러워하는 대기업이잖아요. 부모님이나 친척분들도 대견하다고 자랑삼아 말씀하세요.”
부산자동차고 2학년 윤치성(17) 군은 고향이 충남 아산이라고 합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자동차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네요. 일반계 고등학교로 진학해 자동차 관련 학과 대학 진학도 심각하게 고려해 봤지만, 자동차 분야 전문가의 길을 먼저 걷고 싶다는 생각에 고향을 떠나 부산자동차고에 진학했다고 합니다.
윤치성 군은 “현대자동차 입사가 확정되면서 장학금을 받고 학교에 다니고 있다”며 “친구들 대부분도 기업체 장학금을 받고 있다”며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습니다.
윤 군의 동기인 이동찬(17) 군은 경남 김해 출신입니다. 이 군도 윤 군과 함께 졸업과 동시에 현대차에 입사합니다. 부산자동차고는 윤 군과 이 군을 비롯해 9명의 2학년생이 졸업도 하기 전에 현대차 입사를 확정했습니다. 윤 군과 이 군처럼 선취업이 확정된 학생들은 기업이 장학금까지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야말로 부모님 도움을 전혀 빌리지 않고 학교에 다니고 있는 것입니다.
고졸 성공신화, 대박 취업행진
고졸 성공신화, 그야말로 대박 취업행진입니다. 부산지역 마이스터고가 취업 대박을 터트리며 고졸성공 시대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명문대 출신들도 낙타가 바늘구멍 뚫기만큼 어렵다는 삼성전자·현대자동차·두산중공업·한국수력원자력 같은 대기업과 일류 공기업이 앞다퉈 부산 마이스터고 모시기 경쟁입니다.
부산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기업과 공기업 취업에 성공할 수 있는 원동력은 능력과 실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마이스터고는 기업에 필요한 현장기술뿐 아니라, 향후 관리직으로 승진했을 때를 대비 영어와 컴퓨터 활용 능력까지 골고루 가르친다(사진은 부산자동차고 학생들이 자동차 정비관 련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기뻐하는 모습)마이스터고, 명칭에서부터 왠지 모르게 장인 정신과 전문가의 숨결이 진하게 전해져 옵니다. 마이스터고는 최고의 기술인재를 양성하는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전국적으로 35개 학교가 있습니다. 부산은 부산자동차고·국립부산기계공고·국립부산해사고 등 3개교가 마이스터고 영예를 안았습니다.
올해 마이스터고로 지정받은 해사고를 제외한 부산자동차고와 부산기계공고는 2010년 첫 신입생을 선발, 드디어 내년 2월 1기 졸업생을 배출합니다. 그런데 이 두 학교 1기 학생들의 취업률이 지난 20일 현재 70%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더더욱 놀라운 사실은 취업의 질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입니다.
부산자동차고는 3학년 115명 가운데 91명이 취업을 확정했습니다. 누구나 부러워하는 삼성모바일(9), 삼성전자(6), 삼성전기(5), 삼성중공업(3), 삼성LED(3) 등 삼성그룹 계열사를 비롯해 두산중공업(10), 한국수력원자력(1), 한전KPS(2) 등 대기업과 공기업, 종업원 100명 이상 중견우량기업에 취업했습니다.
부산기계공고 역시 부산자동차고 못지않습니다. 3학년 292명 가운데 195명이 취업, 취업률이 66.8%에 달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11), 한국수력원자력(26), 삼성전자(5), 포스코(1) 같은 대기업과 공기업, 성우하이텍(2), 선보공업(5) 등 지역 우수중견기업에 취업했습니다. 두 학교 모두 졸업 전까지 양질의 취업률이 100%에 이를 전망입니다. 올해 대졸자의 평균 취업률이 지난해보다 0.9%p 올라 59.5%라고 하니 실로 대단한 취업률입니다.
취업 걱정 없이 장학금 받고 학교 다녀
입학과 함께 취업을 보장받는 부산지역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취업 걱정이 없다고 합니다. 부산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기업과 공기업 취업에 성공할 수 있는 원동력은 능력과 실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입니다. 마이스터고는 기업에 필요한 현장기술뿐 아니라, 앞으로 관리직으로 승진했을 때를 대비 영어와 컴퓨터 활용 능력까지 골고루 가르친다고 합니다. 재학생 대부분이 졸업 전까지 4~5개 분야의 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있으며, 기업 맞춤형 커리큘럼, 취업협약 체결을 통한 산업체와의 소통, 조직생활의 기본이 되는 인성, 글로벌 마인드를 최우선 가치로 하는 외국어 수업 등 교육과정이 알차 기업이 먼저 마이스터고를 찾는다고 합니다.
마이스터고의 정규교육과정은 기업이 공통으로 요구하는 전공기초 능력을 습득하도록 짜여 있습니다. 여기에 대부분 학교가 채용약정 기업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특별반을 운영합니다. 부산자동차는 삼성전자·현대차 등 82개 기업과 채용약정을 맺고 있고, 부산기계공고는 250개 업체와 취업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따라서 마이스터고 학생 대부분은 2학년이면 취업이 결정 나는데 입사를 확정한 학생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교육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방학기간에는 해당 기업체를 찾아 연수를 실시, 졸업과 함께 회사 생활에 곧바로 적응할 수 있는 여유가 주어진다고 하네요.
마이스터고 재학생 대부분은 졸업 전까지 4~5개 분야의 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있다. 기업 맞춤형 커리큘럼, 취업협약 체결을 통한 산업체와의 소통, 조직생활의 기본이 되는 인성, 글로벌 마인드를 최우선 가치로 하는 외국어 수업 등 교육과정이 알차 기업이 먼저 마이스터고를 찾는다.산업체 특성 맞춰 맞춤형 교육…인성·외국어교육 함께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받는 다양한 특전도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는 비결 중 하나입니다. 마이스터고 입학생들은 수업료·입학금·학교운영비 등을 면제받고 기숙사까지 제공받습니다. 여름과 겨울방학을 활용 기업체 연수에 나서고, 해외현장체험 기회까지 주어지니 자연스레 면학 분위기가 좋고 서로의 경쟁심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부산자동차고 학생들은 1학년 때부터 자동차 정비 관련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하는데 합격률이 무려 99%를 웃돈다고 하네요. 2학년에 올라가면 정비학부·부품가공학부·생산자동화학부로 나뉘게 되는데 이때부터는 본격적으로 전공 분야 자격증 취득에 심혈을 기울인다고 합니다.
부산자동차고 이홍조 교무부장은 “부산자동차고 학생들은 오전 8시부터 밤 10시까지 정규 교육·영어심화교육·전공별 방과 후 수업을 쉴 새 없이 소화해 내며 자신의 전문영역 키우기에 매진하고 있다”며 “취업 잘되는 학교라는 입소문이 나면서 학생들의 수준도 한 해 한 해 다르게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자랑했습니다.
부산 3개 학교…전국 35개교 지정
부산은 부산자동차고·부산기계공고·부산해사고 등 3개의 마이스터고가 있습니다. 1999년 개교한 부산자동차고(교장 이승희)는 2010년 자동차산업 분야 마이스터고로 문 열었습니다. 전국 유일의 자동차 전문 마이스터고로 세계 최고의 기술명장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부품가공, 생산자동화 등의 인재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네요.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기업연수뿐만 아니라 해외체험 연수를 통해 글로벌 마인드를 키운다(사진은 부산자동차고 학생들의 중국체험 활동 모습).1967년 개교한 국립부산기계공고(교장 배현기)는 오랜 전통을 자랑합니다. 2010년 마이스터고 지정을 받아 세계 최고의 기계·조선·로봇분야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데 대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국내최초, 최고의 기술영재반과 국가 산업 발전의 초석이 되는 기능특활반 10개 직종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립부산해사고(교장 이상문)는 1978년 개교했습니다. 국내최초 해양 마이스터고로 해운산업 수요에 맞춰 우수해운 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2011년 전국 취업률 1위’라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합니다.
원서접수 10월 15~19일
자, 그럼 마이스터고 학생은 언제 선발할까요. 부산자동차고·부산기계공고·부산해사고의 2013년 신입생 선발을 위한 원서접수는 세 학교 모두 오는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입니다. 마이스터고의 신입생 선발은 해마다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데 입학에 따른 최소 지원 기준을 갖춰야 원서를 쓸 수 있습니다.
부산자동차고는 일반전형 108명, 특별전형 12명 등 120명의 신입생을, 부산기계공고는 일반전형 240명, 특별전형 60명 등 300명을 선발합니다. 부산해사고는 일반전형 136명, 특별전형 24명 등 160명의 신입생을 선발합니다. 전형방법과 모집학과는 학교 특성에 따라 학교마다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반드시 학교 홈페이지에 안내하고 있는 신입생 모집요강을 확인해야 합니다.
■부산자동차고: 홈페이지 http://automotive.hs.kr/ 260-0114
■부산기계공고: 홈페이지 http://www.bmt.hs.kr/ 719-0110
■부산해사고: 홈페이지 http://maritime.hs.kr/ 410-2030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2-08-30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