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4.2% 사회적 박탈감 느낀다
가장 큰 원인 경제적 소득격차 … 소외감 심하면 우울증까지
- 내용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사회적 박탈감 또는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잡코리아(www. jobkorea.co.kr)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619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사회적 박탈감 또는 소외감 체감 여부'에 관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조사결과 직장인 10명 중 7명 수준인 74.2%(459명)가 `사회적 박탈감 또는 소외감을 느낀다'고 답했고,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직장인은 25.8%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사회적 소외감을 느낄 때는 언제일까?
조사결과 직장인들이 소외감을 느낄 때(*복수응답)로는 `경제적 소득격차를 느낄 때'가 응답률 67.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시간적 여유가 없어 여행 및 문화생활을 즐기지 못할 때(40.1%) △불안한 노후생활을 걱정해야 할 때(34.0%) △감원 등과 같은 불안한 회사 내, 위치를 느낄 때(29.8%)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따라가지 못할 때(27.7%) △시대가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14.4%) 순으로 답했다.
이외 기타의견으로는 `경쟁이 너무 치열함을 느낄 때', `직장 내 파벌형성에 끼지 못할 때', `비정규직 사원이라고 차별할 때'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한편, 직장인들은 사회적 소외감으로 인해 심각한 경우 우울증까지 동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소외감을 느낀다는 직장인 459명에게 소외감을 느낄 때 어떤 정신적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설문한 결과, `경미한 스트레스를 받는다(34.2%)'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까지 동반된다(21.8%)'라는 답변이 상위 1, 2위였고, `더욱 분발해야겠다는 의욕이 생긴다'는 직장인은 19.6%, `자포자기한 심정이 된다'고 답한 직장인도 13.1%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일시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뿐 곧 생활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답한 직장인은 11.3%에 불과했다.
- 작성자
- <자료제공=잡코리아>
- 작성일자
- 2009-06-0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374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