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풀어쓰기 / 담배수요
- 내용
-
제목 없음 생활경제 풀어쓰기 / 담배수요
최근 담배 가격이 상당히 올랐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담배가격이 오르면 흡연율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시행됐다.
정부는 2004년 12월 담배 1갑당 세금 및 부담금을 500원 정도 올린 이후 2005년부터 추가로 500원을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는 담배가격 인상으로 인한 흡연율 감소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모든 담배의 가격이 동일하게 100원 오를 경우 국내 소비자들의 흡연율은 0.36%p 가량 감소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 1999년, 2002년, 2005년에 팔린 담배제품의 평균 타르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1999년 6.31mg에서 2002년 5.88mg, 2005년 4.13mg으로 대폭 낮아졌고, 슬림형 제품의 판매 비율은 1999년 0.19%에서 2005년 0.36%로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가격이 1% 오를 때 수요량이 몇 % 감소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가격이 1% 상승했는데 수요량의 감소가 1%보다 더 크면 탄력적이라 하고,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 한다. 수요의 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밀접한 대체재가 있는 상품은 없는 상품보다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둘째, 생활필수품에 대한 수요는 비탄력적이고 사치품에 대한 수요는 탄력적이다. 셋째, 상품의 가격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상품이 미미한 상품보다 수요의 탄력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넷째, 같은 가격의 변화에 대하여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량의 변동이 더 크게 되어 수요의 탄력성이 더 커진다.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8-01-0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301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