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234호 경제

알뜰 투자 길잡이 ⑧ 복리 상품

장기 저축·투자 유리…위험 없고 노후 대비 적합

내용
제목 없음

알뜰 투자 길잡이 ⑧ 복리 상품  

 

장기 저축·투자 유리…위험 없고 노후 대비 적합

 

 

역사상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아인슈타인 박사는 “복리야말로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며 세상의 8번째 불가사의라고 불렀다.

복리는 매월(매년) 적립한 금액과 발생한 이자에 이자를 더해 주는 방식이며, 단리는 적립한 원금에만 이자를 더해 주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1천만원을 금리 10% 상품에 단리로 가입하면 1년 후 1천100만원, 2년 후 1천200만원으로 10년 후에 원금의 2배인 2천만원이 된다.

하지만 복리로 계산하면 1년 후 1천100만원, 2년 후 1천210만원으로 10년 후에는 2천590만원이 된다. 위의 예처럼 1~3년 단위로 저축을 하고 투자를 하는 경우라면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장기간 저축과 투자를 한다면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

복리와 단리의 차이는 ‘72의 법칙’으로 간단하게 계산해 볼 수 있다. 72의 법칙은 복리식으로 계산할 경우 원금이 두 배가 될 때까지의 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복리상품이 투자자 입장에서는 더없이 좋지만 금융기관 입장에서 보면 그만큼 불리하기 때문에 갈수록 사라지는 추세다. 하지만 연금보험 등과 같이 일부 상품의 경우 복리식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이 더러 있으므로 가입할 때 확인하는 것이 좋다.

뉴욕 월가의 주식투자의 대가인 워렌 버핏도 “복리의 마술을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펀드도 장기투자를 해야 한다”고 권유했다. 복리는 막대한 수익을 단기에 올리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기 보다는 작지만 확실한 수익을 장기간 얻을 수 있는 지름길이며, 노후 대비에 알맞은 상품이다.<서호기·CJ투자증권 구포지점>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6-09-1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234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