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풀어쓰기 / 방카슈랑스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 내용
- 은행제도는 업무의 취급범위에 따라 예금과 대출업무만을 전담하는 전업은행제도와 예대업무 외에 증권의 인수 및 중개, 투자관리, 보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겸업은행제도로 구분된다. 은행제도는 나라마다 그 형태가 다르다. 독일은 오래 전부터 겸업제도를 채택해 왔지만 전업은행제도를 근간으로 해 오던 영국 일본 미국 등은 은행의 업무영역 제한을 대폭 완화 또는 철폐하는 방향으로 금융개혁을 추진함으로써 은행의 증권 및 보험업 겸업이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1999년 11월에 금융현대화법이 제정되어 은행 증권 보험업의 겸업을 허용하였다. 겸업은행제도의 장점으로는 범위의 경제가 자주 인용된다. 금융산업에서 범위의 경제는 주로 고정자산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겸업은행제도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각국이 이 제도의 도입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은행이 높은 위험의 증권 보험 업무를 수행하면 은행의 안정성이 저하될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 은행은 2003년 8월부터 방카슈랑스를 도입하였다. 방카슈랑스는 은행이 보험회사와 연계하여 보험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것으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하여 유럽은 물론 미국과 일본에서도 도입되었다. 지난 2월 AIG손해보험회사가 유통업체인 `GS리테일'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GS리테일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에서 AIG손해보험 상품 3종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방카슈랑스처럼 보험회사가 판매채널을 확대해 고객 곁으로 다가간다는 시도로 보인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6-03-0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207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