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114호 경제

풀어쓰는 생활경제 /저축률

글쓴이: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내용
지난 2002년의 우리나라 개인 순저축률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지난 4일 발표한 ‘가계저축률 하락 원인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의 개인 순저축률은 2001년의 6.0%에 비해 4.5%포인트 하락한 1.5%로 나타났다. 대만(15.4%)에 비해서는 10%포인트 이상 낮고 저축률이 낮은 선진국인 일본(5.4%) 미국(2.3%) 등에 비해서도 떨어졌다. 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으로는 1999년 이후 가계부채 급증으로 가계의 원리금부담이 늘어난 데다 청년실업 및 개인 신용불량자가 증가하면서 가계의 경제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자산가격의 상승, 저금리 및 신용카드사용 활성화, 사회보장제도의 확대, 고령화 사회로의 진행 등을 저축률 하락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한편 지난해 한국의 국민 총저축률은 32.6%로 전년의 31.3%에 비해 조금 상승했다. 국민총저축률은 1988년 40.5%, 1995년 36.3%, 2001년 31.7%였다. 총저축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총 저축률이라 한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국민 경제 전체가 자유롭게 소비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으로 최종소비지출과 총 저축을 합한 것이다. 총 저축에서 고정자본소모를 뺀 것을 순저축이라 하며, 순저축률은 순 저축을 개인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개인처분가능소득은 개인이 실제로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민간최종소비지출과 가계저축을 더한 것이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4-05-2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114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