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090호 경제

풀어쓰는 생활경제 / 공공재

글쓴이: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

내용
 우리나라의 경제 상태가 좋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각종 이익단체들의 과격한 시위로 인해 많은 전경들이 다치고 경찰 버스가 불에 타는 등 외국 투자가들도 우려할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올해 11월20일까지 부상한 전경 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늘었으며 시위과정에서 파손된 경찰장비는 지난 10월까지 1천741건으로 작년 한 해(273건)의 6배가 넘었다고 한다.  공공기관이나 공공시설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경제에는 공공재가 있다. 경찰 국방 공원 등대 등이 공공재의 예이다.  경제에서 재화라고 이야기 할 때는 보통 민간재 또는 사유재를 뜻한다. 이는 각 단위를 한 사람만이 소비할 수 있는 상품을 말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가 있는데 이를 공공재라고 한다.  공공재는 공동의 소비를 위하여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공재는 두 가지 특성이 있는데 그 첫번째는 비경합성이다. 예를 들어 다른 나라의 침략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는 국방서비스는 내가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혜택을 못 받는 것이 아니다.  두번째 특징은 비배제성이다. 가격을 지불하지 않아도 소비로부터 배제시킬 수가 없다는 뜻이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어느 특정 개인만을 국방서비스로부터 제외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국방서비스는 공공재의 두 가지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순수 공공재의 보기이다.  이외에도 시청료를 받는 KBS 방송처럼 비경합적이나 배제 가능한 공공재도 있고, 무료이기는 하나 복잡한 도로처럼 비배제성을 갖고 있으나 경합적인 공공재도 있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3-11-2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090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