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부산 이전 정부에 공식 촉구
부산시, “부산 오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연구소 함께 와야”
6월 5일 시민공청회
- 내용
부산광역시가 극지연구소의 부산 이전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오는 9월 부산으로 옮겨옴에 따라 부설 연구기관인 극지연구소도 당초 계획대로 함께 와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지난 25일 해양수산부를 방문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극지연구소 부산 이전을 공식 건의했다.
극지연구소는 지난 2005년 참여정부 당시 수립된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에 따라 부산 이전이 결정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부산 이전 계획에 부설 연구기관인 극지연구소 이전도 포함된 것.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고, 해양과 극지를 연계한 융·복합적인 연구를 강화해 시너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극지연구소 이전은 이명박 정부 들어 인천 잔류로 돌변했다. 극지가 해양과 관련이 없다는 이해하기 힘든 논리로 수도권 잔류로 돌아선 것이다. 이에 대해 국가의 정책방향과 발전전략을 무시하고 일부 지역의 이익을 위한 끼워 맞추기식 결정이라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됐다. 이 같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일부 인천지역 국회의원들이 극지연구소를 연구원으로 독립법인화해 인천 잔류를 영구화하려는 '극지활동진흥법안'을 잇따라 발의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부산시는 참여정부의 맥을 잇는 문재인 정부 출범에 맞춰 극지연구소 수도권 잔류 결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극지연구소 부산 이전을 다시 추진할 방침이다.
지난 25일 해수부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의 하나인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특정 지역이나 기관의 이기주의에 따라 결정돼서는 안되며, 국가의 큰 정책방향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극지와 해양을 연계 발전시키려는 국가정책방향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극지연구소가 본원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부산으로 이전해 오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적극 건의했다.
한편, 부산시는 다음달 5일 시청에서 부산극지타운 조성을 위한 시민공청회를 연다. 이날 시민공청회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시의 극지타운 조성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의 극지타운 청사진 마련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부산시장과 크라이스트처치시장, 극지해양미래포럼 이사, 대학교수 등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토론할 예정이다.
▲부산시가 극지연구소의 부산 이전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사진은 극지연구소가 운영하는 우리나라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북극 생태계 조사를 위해 해빙에 정박해 있는 모습. 아라온호는 지난 2009년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건조됐다). 사진제공·국제신문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7-05-3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8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