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집집마다 태극기를 …
제98주년 3·1절 기념행사 … 독립유공자 포상
- 내용
- 부산광역시는 제98주년 3·1절을 맞아 민족자존과 국권회복을 위해 떨쳐 일어섰던 선열들의 위업을 기리고, 시민들의 나라사랑 마음을 드높이기 위해 '태극기 달기 운동'을 펼친다.
부산시는 3·1절 당일 부산 전역에 태극기가 물결칠 수 있도록 시내 주요 도로 변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온 시민이 가정과 직장에 태극기를 달도록 아파트단지 내 방송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부산시장과 부산시의회의장, 부산시교육감을 비롯한 보훈단체장 등 40여명은 3월 1일 오전 9시 충렬사를 참배하고, 오전 10시 부산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제98주년 3·1절 기념식'을 갖는다. 행사는 △3·1운동 영상물 상영 △애국지사 소개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 전수 △기념공연 △만세삼창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어 정오부터 용두산공원 '시민의 종' 종각에서 타종식을 진행한다. 기관장과 독립유공자 30여명은 '시민의 종'을 33번 치며 3·1독립정신을 되새긴다.
부산시는 3·1절을 맞아 독립유공자 및 유족들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시내버스·도시철도 등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1절 태극기, 어떻게 달아야 할까?
밖에서 봤을 때 대문 중앙이나 왼쪽 … 시·군·구 민원실, 주민센터, 인터넷우체국서 판매
국기 게양은 경축일과 조의를 표하는 날에 따라 방법이 다르다. 국경일과 국군의 날 등 경축일에는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하고, 현충일과 국장기간 등에는 깃봉과 깃면 사이를 세로 길이만큼 내려 달아야 한다.
게양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 심한 비·바람 등 악천후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다. 일시적 악천후인 경우에는 날씨가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달면 된다.
가정에서 국기를 게양할 때는 밖에서 봤을 때 대문 또는 각 세대의 난간 중앙<사진>이나 왼쪽에 단다. 건물 주변은 전면지상의 중앙 또는 왼쪽, 옥상의 중앙 또는 주 출입구 위 벽면 중앙에 단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는 강풍 등으로 베란다에 단 태극기가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국기는 땅에 닿지 않도록 양쪽에서 잡고, 잘 접어 보관함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찢어지거나 심하게 훼손되면 소각하거나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 주민센터에 설치된 국기수거함을 이용한다. 태극기는 시·군·구 민원실과 읍·면·동 주민센터, 인터넷우체국(epost.go.kr),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사진제공·국제신문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7-02-2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67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