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708호 시정

바다 위 달리는 시내버스… 눈 맛 끝내줘요

부산 5개 명품다리 통과… 동·서 끝 지점 왕복 ‘여행 버스’
41명 탑승 ‘입석 금지’… 배차간격 20∼40분 요금 1,700원

내용

부산에 새로 생긴 1011번 시내버스가 화제다. 지난달 28일 운행을 시작한 이 버스는 기장군 청강리 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강서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까지 가는, 부산의 동·서 끝 지점을 잇는 좌석버스다. 무엇보다 일반 좌석버스 요금인 1천700원(교통카드 어른요금 기준)으로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남항대교, 을숙도대교, 신호대교 등 부산의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명품다리 5개를 모두 통과하며 이색 풍광을 즐길 수 있어 벌써부터 '바다 위를 달리는 시내버스'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부산 해안일주도로를 달리는 1011번 시내버스는 광안·부산항·남항·을숙도·신호대교를 차례로 통과하며 시원한 풍광을 선사한다(사진은 1011번 버스가 광안대교를 달리는 모습). 사진제공·국제신문

1011번 시내버스가 운행을 시작한 열흘째인 지난 7일 오전 8시. 기장군 청강리 차고지에서 승객 6명과 함께 버스에 올랐다. 승객들이 30분 넘게 기다렸던 터라 배차간격이 어떻게 되느냐고 묻자, 기사는 버스 6대가 20∼40분 간격으로 출발하는데 아직까지 손님이 많은 시간이 언제인지 몰라 매일 출발시간을 다르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첫차가 오전 5시30분 출발해 30분 간격을 두고 운행한 결과 손님이 많이 없어, 이날은 첫차 출발시간을 오전 5시로 앞당겨 30∼4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는 것. 부산 동·서 끝 지점을 오가는 장거리 노선인데다, 버스 대수도 6대뿐이어서 배차간격을 일정하게 지키기가 쉽지 않은 모양이었다. 실제 버스가 송정해수욕장 입구와 장산역, 해운대역, 올림픽교차로에 도착하자 승차하는 승객 몇몇이 "추운 날씨에 40분 넘게 기다렸다"며 다소 불만을 표출했다.

 

1011번 시내버스 정류소 가운데 도시철도로 갈아탈 수 있는 곳은 장산역과 해운대역, 올림픽교차로다. 올림픽교차로에서는 조금만 걸으면 시립미술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버스는 어느새 광안대교로 접어들었다. 오전 8시30분. 기장 청강리 공영차고지를 출발한지 30분 만이다. 탑승 인원을 세어보니 13명. 주로 자동차 전용도로를 달리는 1011번 버스는 승객 안전을 위해 입석을 금지하며 41명 정원이다. 좌석이 없으면 다음 버스를 기다려야 하지만 평일에는 그럴 일이 없을 것 같았다.

버스가 광안대교에 오르자 차창 밖으로 푸른 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지며 반짝이는 윤슬이 눈을 부시게 했다. 멀리 보이는 수평선에 가슴이 탁 트였다. 왼쪽으로는 새하얀 요트가 가득 차 있는 요트계류장에 이어 오륙도, 이기대가 한 눈에 들어왔다. 오른쪽으로는 민락수변공원과 광안리해수욕장이 인적 없이 한가롭게 쉬고 있었다. 출근길 정체는 광안대교도 예외가 아니었다. 덕분에 차를 운전하며 다닐 때 온전히 즐기지 못한 광안리 앞바다 풍경을 맘껏 즐길 수 있었지만, 출근길이었다면 마음을 졸였을 것 같았다. 다행히 다른 승객들도 차창 밖 풍경을 즐기며 음악을 듣거나 책을 읽으며 느긋한 모습이었다.

20분 만에 광안대교를 통과한 버스는 남부면허시험장과 동명대학교 후문을 거쳐 감만동 부산항대교로 진입했다. 오전 9시10분. 광안대교와 달리 시원하게 달렸다. 왼쪽으로 감만부두의 대형 크레인과 컨테이너 야적장이 이어졌고, 오른쪽으로는 새로 개장한 국제여객터미널과 재개발사업이 한창인 북항이 위용을 자랑하고 있었다.

버스는 곧바로 영도 시내에 접어들어 한진중공업 정류소에 정차했다. 이곳에서 승객 7명이 한꺼번에 내렸다. 이어 영선2동주민센터를 거쳐 남항대교로 향했다. 9시20분. 버스가 남항대교 위에 오르자 오른쪽에는 어선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고 자갈치시장, 부산공동어시장이 자리 잡은 남항의 활기찬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왼쪽에는 입항을 기다리며 먼 바다에 정박 중인 선박들이 한가롭게 쉬고 있는 모습이 대조를 이뤘다.

버스가 남항대교를 건너 송도 입구와 부산천연가스발전소를 거쳐 장림까지 달리는 동안에는 특별히 볼거리가 없었다. 송도 입구에서 내려 송도해수욕장을 들르거나, 부산천연가스발전소에 내려 요즘 뜨고 있는 감천문화마을을 둘러보는 것도 좋을 듯싶었다.

버스는 장림·신평공단을 관통한 뒤 을숙도대교를 달렸다. 9시45분. 조금 전까지 봤던 바다가 아닌 낙동강을 건너는 다리. 을숙도 갯벌 위로 흰 철새들이 유유히 날고 있었다.

버스는 명지신도시에 들어서 시원하게 뚫린 왕복 12차로 도로를 직진으로 달렸다. 신호대교를 건너자 오른쪽으로 르노삼성자동차의 거대한 공장이 위용을 자랑하고, 왼쪽으로 아파트단지가 이어졌다. 이어 삼성자동차 남문과 정문에 멈춘 버스는 부울중소기업청을 거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에 도착했다. 오전 10시. 기장 청강리 공영차고지를 출발한지 정확히 2시간 만이었다.

���������������������������������������������������������������������������������������������������������������������������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5-12-09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708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