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소재 4개 시·도, 안전 위해 뭉쳤다
부산·울산·전남·경북, 행정협의회 구성… 원전안전대책 협력키로
- 내용
-
부산, 울산, 전남, 경북 등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4개 시·도가 원전안전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뭉쳤다. 4개 시·도는 지난달 31일 대구 엑스코에서 ‘원전 소재 광역시·도 행정협의회’ 구성을 위한 협약식을 갖고 원전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공동 대처·협력키로 했다.
원전 소재 광역시·도 행정협의회는 부산·울산·전남·강북 4개 시·도 부단체장으로 구성하며, 회장은 각 시·도가 1년씩 맡는다. 협의회는 지역주민들이 원전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신뢰성 있는 원전안전대책과 방사능방재대책 마련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원전 관련 주요 현안이 생기면 적극 협력해 공동 대처한다. 이를 위해 수시로 △원전 안전 및 방사능 방재 대책에 관한 사항(정부 원전안전대책 촉구 포함) △원전안전 관련 지자체의 역할 연구 △원전훈련, 방사선 감시 등 상호협력 △사용후 핵연료 처리, 지역 자원시설세 인상 등 각종 현안 공동 대처 등을 논의한다.
그동안 원전안전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부족했던 게 사실. 정부가 원전 운영과 안전점검 등 권한을 갖고 있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지난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이어 국내 원전비리 사건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원전안전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이 전 국민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 부산시를 비롯한 원전 소재 4개 시·도는 더 이상 권이 없다는 이유로 정부의 대책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시·도민의 안전을 지켜야하는 책임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데 뜻을 같이 하고 원전안전 확보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박종배 부산시 원자력안전실장은 “원전 소재 광역시·도 행정협의회 출범으로 지역주민들이 원전안전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원전안전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주민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4-11-06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