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77호 시정

내버려둔 자투리땅, 나무 심어 ‘푸른 쉼터’로

지난해 31곳 대추·감·팽나무 등 2만5천 그루 심어 호응
올 상반기 28곳 2만7천 그루 심어…주민 신청 접수 중

내용

“몇 그루의 나무가 동네 이미지를 확 바꾸네요.”

부산시내 곳곳에 버려지다시피 했던 자투리땅이 속속 푸른 쉼터로 변하고 있다. 관리의 손길이 닿지 않아 쓰레기 무단투기 등으로 몸살을 앓던 조그만 공간들이, 나무와 꽃이 어우러진 녹지로 변해 도시 이미지를 바꾸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시내 곳곳에 버려지다시피 했던 자투리땅이 속속 푸른 쉼터로 변하고 있다(사진은 중구 영주1동 자투리땅에 나무를 심는 모습).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4월부터 각 구·군마다 방치된 땅을 찾아 푸른 쉼터로 가꾸는 '도심 자투리땅 녹화사업'을 시작했다. 대규모 녹지 조성뿐만 아니라 곳곳에 버려진 조그만 공간에도 지역주민과 함께 꽃과 나무를 심어 도시를 푸르게 만들기 위해서다. 이 사업은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관건. 주민들이 자투리땅을 찾아 나무 심기를 해당 자치구·군 녹지담당 부서에 신청하면, 공무원들이 현장을 확인한 후 심을 나무 등을 지원한다. 주민들이 직접 나무를 심고 가꾼다. <표 참조>

부산시는 '도심 자투리땅 녹화사업'을 통해 지난해 16개 구·군 자투리땅 31곳 5천430㎡를 푸른 쉼터로 바꿨다. 이 곳에 2억6천600만원을 들여 주민들과 함께 매화·산수유·대추·감·팽나무 등 나무 45종 2만5천632그루를 심어 호응을 얻고 있다. 올해도 상반기에만 동구 안창마을 등 28곳 1만1천㎡에 2억원을 들여 감나무를 비롯한 유실수와 조경수 12종 2만7천여 그루를 심었다. 주민 신청을 계속 받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내버려진 땅을 푸르게 가꿔 주민들이 정겨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문의:녹지정책과(888-4215)

□ '도심 자투리땅 녹화사업' 신청 창구

구 분 부 서 명 연락처(사무실) 팩 스
중 구 도시관리과 600-4531~4534 600-4479
서 구 경제진흥과 240-4531~4534 240-4479
동 구 경제진흥과 440-4531~4534 440-4479
영도구 경제진흥과 419-4531~4534 419-4479
부산진구 지역경제과 605-4531~4534 605-4479
동래구 녹 지 과 550-4531~4534 550-4539
남 구 지역경제과 607-4531~4535 607-4479
북 구 청정녹지과 309-4531~4534 309-4479
해운대구 늘푸른과 749-4531~4534 749-4549
사하구 산림녹지과 220-4531~4534 220-4529
금정구 공원녹지과 519-4531~4534 519-4529
강서구 클린녹지과 970-4521~4524 970-4479
연제구 경제진흥과 665-4531~4534 665-4479
수영구 지역경제과 610-4531~4534 610-4479
사상구 녹지공원과 310-4531~4534 310-4479
기장군 농 림 과 709-4531~4535 709-4479
부산광역시 녹지정책과 888-4211~4215 888-3809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3-05-1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77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