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과 처방> 장묘문화 개선 시급하다 - 부산이 '화장'촉진 선도역할
전국 최고수준 50.1% 기록
- 내용
- 부산시가 화장중심의 장묘문화 정착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최근 몇 년 사이 시민들의 화장문화 선호도가 높아져 지난해 경우 ‘화장률 50%’라는 전국 최고의 수준에 이르게 한 것이 이를 잘 반증하고 있다.부산시는 시민들의 장묘의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화장문화의 국가적·개인적 실익 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최근에는 ‘부산장묘문화 및 납골묘 전시회’와 ‘장묘문화개선 세미나’ 등을 잇따라 개최해 호응도를 높이 쌓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부산지역의 화장 선호도는 95년 38.5%이던 것이 해마다 점점 늘어나 96년 41.6%, 97년 43.1%, 98년 49.0%였고 지난해는 사망자 1만8835명 중 9433명이 화장돼 절반을 넘어선 50.1%를 나타냈다. 부산의 이같은 화장비율이 전국 평균 31%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고 전국 16개 시도 중 최고 수준으로 나타나, 부산시가 한국의 장묘문화를 선도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부산의 ‘화장비율 전국 최고수준’은 △95년 장례식장과 화장장, 납골당을 갖춘 최첨단 시설의 영락공원 운영 △용지난의 심각성 △화장 선호의 불교신자 비율이 높은 점 등이 화장문화의 확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화장비율이 부산 다음으로 높은 시도는 서울(43%), 울산(39.8%), 인천(38.8%), 경기(36.2) 순이고 가장 낮은 곳은 전남(10.1%)이며 그다음으로 충북(10.2%), 제주(11.1%), 전북(12%)순이다. 부산시는 이같은 ‘화장률 전국 최고수준’에 힘입어 우리의 매장중심 장묘문화를 과감히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 도출에 노력하고 있다. 17일부터 20일까지 부산무역전시관에서 개최한 ‘부산장묘문화 및 납골묘 전시회’와 25일 시청에서 연 ‘장묘문화 개선 세미나’가 바로 그것. 특히 장묘문화 개선 세미나에서는 매장중심의 장묘문화 개선을 위해 △공직자 윤리법에 장묘실명제 도입·화장장 및 납골당의 시민공원화 등이 시급하며 △유골을 바다에 뿌리는 ‘바다산골 문화’의 활성화 등 대안이 제기돼 관심을 모았다. 류기형 부산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에서 손승길 동아대 교수는 ‘한국의 장묘문화 개선에 있어서 한국인의 의식개혁의 이론과 현실성’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의 장묘문화는 유교적 관습·종교적 관념·의례허식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지적하고 “매장중심의 장묘문화 정착을 위해 관련법과 제도의 제정을 통한 강력한 실천, 공직자 윤리법에 장묘실명제 도입, 화장장 및 납골당의 시민공원화 조성이 필요하다”는 등 17개항의 실현방안을 제시했다. 또 박복순 한국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 사무총장은 ‘우리나라 장묘문화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부산의 화장률이 전국 최고인 50%인 만큼 부산시가 장묘문화 개선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부산시가 장묘분야 전문인력 육성과 유골을 바다에 뿌리는 ‘바다산골문화’ 활성화에 관심을 쏟아야 하며 시민단체들의 장묘문화 개선 활동을 적극 자원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동걸 부산일보 논설위원 등 4명이 지정 토론자로 참석, 장묘문화 개선 방안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부산시의 이번 두 가지 행사는 장묘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을 새롭게 하고 매장문화의 실익성 인식 및 선호도 확산을 촉진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0-08-3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926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