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암치료 동위원소 부산이 만든다
수출형 연구 원자로 부산유치… 세계적 원자력 의료메카로
- 내용
- 부산시가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수출형 신형 연구로를 유치, 세계적인 방사선 의료산업 메카로 도약한다(사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연구용 원자로인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하나로' 모습).
부산이 사업비 2천500억원 규모의 '수출형 신형 연구용 원자로' 사업유치에 성공했다. 부산은 동남권 원자력의학원(1천775억원)과 중입자가속기센터(1천950억원)에 이어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까지 유치함으로써 세계적인 방사선 의료산업 메카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수출형 신형 연구용 원자로'는 암 조기진단 및 치료에 사용하는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대량 생산하는 시설이다. 의료용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카 및 풍력발전에 사용하는 고부가가치 대전력 반도체 소재 생산과 비파괴검사 등 다양한 연구·생산기능까지 수행한다. 말 그대로 중요한 국책 연구시설. 대전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 30㎿급 '하나로'가 있지만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것은 부산이 유치한 수출형 연구로가 처음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수출형연구로 유치 신청서를 낸 전국 9개 시·도를 대상으로 서류심사를 벌여 후보지를 부산과 전북 두곳으로 압축, 현지실사를 거쳐 부산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13만㎡)로 확정, 발표했다. 수출형연구로 사업유치로 부산은 내년부터 2015년까지 국비 2천500억원을 들여 20㎿ 규모의 연구용 원자로 건설과 함께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시설, 반도체 원재료의 조사기능을 하는 반도체 도핑시설을 구축한다.
교과부는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직접 생산해 국내 자급은 물론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는 캐나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남아공 등 일부 국가가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연구용 원자로를 독점하는 상황. 대전의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는 의료용 방사선 동위원소 수요량의 5~30%만 충당할 수 있다.
부산은 이번 연구용 원자로 사업유치로 수입에 의존하던 방사성 동위원소 국내 소비량을 100% 자력으로 공급, 수입 대체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출까지도 가능할 수 있으리라는 분석.
허남식 부산시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출장을 마치고 오후 5시30분 김해국제공항에 도착, '수출형 연구로 부산유치 기자회견'을 열고 "수출형 연구로 유치를 계기로 시가 기장군 일대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원자력 의·과학 특화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관련 콘텐츠
- '원자로' 부산유치 의미·전망
- 작성자
- 박재관
- 작성일자
- 2010-08-0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43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