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다시마쿠키 에티오피아 돕는다
시·부경대, 요오드 부족 겪는 주민 전달… 6·25 참전 '보은 선물'
- 내용
-
기장 다시마쿠키 에티오피아 돕는다
시·부경대, 요오드 부족 겪는 주민 전달… 6·25 참전 '보은 선물'
부산시와 부경대가 지역특산물인 기장 미역과 다시마로 만든 쿠키로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주민을 돕는다(사진은 다시마쿠키 모습).
부산 기장의 특산물인 미역과 다시마로 만든 쿠키가 요오드 결핍으로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 간다.
세계 유일의 유엔묘지가 있는 부산이 영양 결핍으로 피폐해진 에티오피아 주민들의 웃음을 되찾아주고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고마움을 전달하기 위해서다.
부산광역시와 부경대가 8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미역과 다시마로 쿠키와 크래커, 건빵 10t을 만들어 내년에 에티오피아에 전달키로 했다. 부산시와 부경대는 공동으로 기능성 수산가공품 개발을 추진, 부경대 홍용기 교수(식품생명공학부)가 부산의 풍부한 특산물인 미역과 다시마를 활용한 쿠키 제작에 성공한 것.
홍 교수팀은 시제품 개발과 현지조사 등을 거쳐 내년 하반기쯤 '기장 미역·다시마쿠키'를 에티오피아에 보낼 계획이다.
한국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 주민 대다수는 요오드 결핍증으로 힘들어하고 있다. 전체 주민의 약 40%인 3천200만명이 요오드 결핍 후유증으로 인해 갑상선종, 정신지체, 청각장애, 언어장애 등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역과 다시마는 요오드를 많이 함유한 대표적인 식품. 성인의 하루 요오드 권장 섭취량은 손톱 크기의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면 충분하다.
홍용기 교수는 "부산의 특산물인 기장의 미역과 다시마를 활용해 한국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의 주민들을 돕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부경대는 해조연구센터를 기장군 동백리에 구축, 다시마쿠키 등 해조류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통해 지역 특산물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돕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