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경제권 선도 프로젝트 선정 - 부산 신항 배후 물류 . 산업도시
정부, ‘5+2 광역경제권’ 활성화전략 확정
- 내용
-
제목 없음 동남경제권 선도 프로젝트 선정
부산 신항 배후 물류 . 산업도시
정부, ‘5+2 광역경제권’ 활성화전략 확정
맞춤형 규제완화로 내년 사업 착수 전망
부산신항 배후(강서지역) 물류. 산업도시 조성사업이 정부의 동남광역경제권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정부는 이 사업처럼 광역경제권 발전에 긴요한 핵심사업은 맞춤형 규제완화를 적극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강서지역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등 규제도 잇따라 풀릴 전망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지난 10일 정부의 ‘5+2 광역경제권별 발전비전’에 따른 기자회견을 갖고, 동남경제권 개발비전과 선도사업 구축방안을 설명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동남권은 ‘환태평양 시대의 기간산업 및 물류 중심지’로 육성하며, 이를 위해 환태평양 최고수준의 물류. 교통 인프라를 확충, 산업.물류 및 관광 성장벨트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동남권 선도 프로젝트로 부산신항 배후 물류. 산업단지 육성방침을 중심으로, 6개 핵심사업을 선정했다. 부산항-광양항간 철도 복선 전철화(부산-마산-진주-광양), 동북아 제2허브공항 건설, 다핵형 광역권 성장을 위한 부산외고가 순환도로 구축 등이다.
정부는 선도 프로젝트를 제 때 완공토록 국책사업으로 관리하며, 09년부터 예산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광역경제권 활성화 차원에서 지역발전기반 구축방안도 확정했다. 핵심사업을 위해 맞춤형 규제완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부산신항 배후 물류?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신항만 눌차만 지역 문화재 보호구역의 면적을 축소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부산시장은 이번 정부 발표에 따라, 강서 산업. 물류도시 개발의 구체적 윤곽을 연말까지 결정, 내년 중 산업.물류단지 지정절차를 밟도록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부산시는 부산의 산업.물류용지 난을 해결하고 부산신항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강서지역 50㎢를 광역산업단지 31㎢, 글로벌 복합물류단지 14㎢, 지원시설 5㎢로 개발 조성할 것을 정부에 요청해왔다.
정부는 10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올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열고, 이번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을 확정, 발표했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8-09-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337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