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849호 시정

동서화합 잇는 노둣돌 창무극 \"\춘향전 \"\ 무료 공연

부산시· 전북도립국악원 공동주최 3월2-3일

내용
 오는 3월 2일은 우리 민족의 4대 명절의 하나인 정월 대보름이다. 다른 민족에 비해 유달리 달을 숭배했던 우리 민족은 음력 정월 보름달을 일년중 가장 밝고 큰 달로 여겨 이날 달을 보고 한해 소망을 빌고 새해 운수를 점치는 등 갖가지 풍속을 만들었다.  상원(上元)이라고도 부르는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풍습은 지방별로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 달맞이^부럼^오곡밥^귀밝이술 등은 지금까지 전국 어디서나 유지되고 있는 풍습이다. 전국 공통의 풍습 외에 부산지방에서는 전통 민속인 동래 들놀음을 놀며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동네 잔치를 펴기도 했다. 정월 대보름의 각종 세시풍속을 알아본다.  정월 대보름 풍속중 가장 으뜸인 것은 뭐니뭐니해도 달맞이다. 이날 달을 보고 소원을 빌면 성취된다는 믿음이 있어 정월 대보름 달을 향해 기원하는 사람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특히 달을 맨 먼저 본 사람은 무슨 소원이든 이룬다고 해서 달을 보자마자 “달봤다”고 고함을 치기도 한다. 달맞이 후에는 쥐불놀이, 달집태우기 등의 민속놀이를 열고 온 동네 사람들이 한데 어울려 화합을 다지는 한편 한 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한다.  나무나 짚을 이용해 산기슭이나 언덕에 조그만 집이나 다락을 만들고 달이 뜰 때 불을 당겨 태운다. 수십 개의 달집에서 한꺼번에 불꽃이 피어오르면 모두 함성을 지르며 풍년을 기원한다. 이때 달집이 한꺼번에 잘 타 오르면 풍년이 들고 제대로 타지 않으면 흉년이 든다고 점을 치기도 했다.  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 밤^호도^잣^은행 등 각종 견과류를 깨물며 “부스럼 깨물자”라고 하는데 이를 부럼이라고 한다. 옛날엔 자기 나이 수를 따져 깨물기도 했으나 요즘에는 이런 형식은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부럼 깨물기는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말고 치아를 튼튼하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뜻에서 비롯됐다.   우리 고전을 무대 공연화한 최초의 창무극 `춘향전\"\ 공연이 부산시와 전라북도 도립국악원 공동주최로 3월2~3일 오후7시 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창무극은 대표적인 전통 고전문학을 노래와 춤이 있는 무대 공연작품으로 각색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작품이다. 창무극은 우리 민족 고유의 신명과 가락을 고전문학과 무대공연의 틀을 빌어 현대화한 전혀 새로운 공연 형식으로 고전의 현대화라는 측면에서 전통예술의 새로운 전승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춘향전\"\은 국내 최초의 창무극으로 전 2막 12장의 공연시간 2시간 40분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의 공연이다. 창극 무용 관현악 스텝 등 출연진만 1백20명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의 공연이다. 예로부터 노래와 춤의 고장으로 불리던 전북 지역의 수준 높은 문화를 감상할 수 있는 모처럼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창무극 `춘향전\"\ 부산공연은 전북도립국악원에서 동^서화합의 계기를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영남권에서 무료 공연을 펼쳐왔다. 이번 부산공연은 울산 대구 공연에 이은 세 번째 무대다.  이번 공연의 관람은 별도의 초대권없이 공연 당일 문화회관으로 가면 관람할 수 있다. ※문의:시 문화예술과 (888-3462)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0-06-09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849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